빛의 얼굴들 - 빛을 조명하는 네 가지 인문적 시선
조수민 지음 / 을유문화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
물체는 일정한 색의 빛을 흡수하고, 일정한 색의 빛을 반사하는 '성질'만 가질 뿐, 우리가 보는 모든 색은 빛으로부터 나온다. (30p) 그래서 우리의 본다는 감각은 불완전하고 연약한 감각이다. (27p) 사과를 보더라도 대비가 큰 직사광이 비치는 곳에서 보는 것과 비교적 부드러운 천공광이 있는 곳에서 보는 것과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빛이 끊임없이 산란하고 반사하며 이 세상을 채우고 있기에 우리의 '본다'라는 것은 그 장소, 시간에 '보인다'라고 말하는게 더 정확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1,2장 전반에 걸쳐 빛의 다양한 성질과 조명을 과학적으로 쉽게 잘 설명해 준다. 나는 그림을 그리거나 정리해가며 읽었다. 꼼꼼하게 읽고 나면 공간의 조명 설계는 단순한 미적인 면으로만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유독 하루 종일 해가 드는 남향을 고집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외국에서는 특정 향을 고집하지 않고 빛의 방향(동, 서, 남, 북향)에 따라 적절한 조명을 이용하거나 자연광을 활용해 빛을 최대한 활용한다. 우리 집은 동향인데, 나는 아침에 눈부시게 직사광이 내리는 거실이 좋고 오후 늦게 노랗게 노을빛이 드는 주방을 좋아한다. 어느 향이든 다양한 빛의 즐길 수 있다면 굳이 특정 향을 고집하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나도 생각한다.

조명의 밝기와 설치 위치에 따라 공간의 분위기가 어떻게 바뀌는지 설명하며, 공간을 이용하는 대상에 따라 왜 빛의 제어, 조명계획이 이뤄져야 하는지 이유를 설명한다.

또한, 저자는 도심의 과도한 야간 조명 사용이나 생태계를 위협하는 조명 과소비에 대한 안타까움도 이야기하며 이기적인 마음을 지적하고 '배려'를 이야기한다.

태초의 빛에서 시작해 저자는 사람, 공간, 사회, 환경분야까지 두루 빛에 대한 자신의 인문학적 소견을 이야기한다. 빛이 이렇게 대단한 거다.

우리는 빛이 있기에 색을 경험하고 자연을 느낀다. 책을 읽는 동안, 빛의 다양한 이면을 경험했다. 덕분에 책을 읽는 동안은 직사광, 천공광, 조명 등 다양한 빛을 부러 경험하기도 했다. 빛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니, 공간이 더 풍성해지는 느낌이고, 머릿속이 빛으로 차오르는 느낌이다.

🔖사물의 색은 서로에게 묻게 되어 있어.(159p)

🔖우리가 머무는 공간의 빛은 단순히 그 공간에만 머물지 않는다. 창이 모여 건물이 되고, 건물이 모여 마을이 되어 밤의 모습을 만든다. 그렇게 각각의 창은 마을과 도시의 빛이 되고, 그곳에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보여 준다. (263p)

🔖도시는 환하게 밝혀 놓고, 각자 침실은 암막 커튼으로 빛을 가린 채 잠자는 인간의 모습이 이 땅의 다른 생명들에게는 매우 이기적인 모습으로 보일지도 모릅니다. (272p)

을유문화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