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잔류 인구
엘리자베스 문 지음, 강선재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
.
나이 들면서 무섭고 두려운 건 건강 문제도 있지만 사회로부터 소외당하고 그저 귀찮은 존재로 여겨지는, 사회적 무쓸모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는 두려움이다.
콜로니 운영사 측은 공식적 직업이 없는 노인들의 무쓸모를 이유로 이주 처리 비용 조차 청구하며, 오필리아를 콜로니에 두고 가든 데리고 가든 아무런 이득도 되지 않음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쓸모 없어? 지금 나를 쓸모없다고 생각한단 말이지, 공식적인 직업 없이 정원과 집을 가꾸고 요리를 거의 도맡아 한다는 이유로?(34p)
70대 할머니 오필리아는 콜로니가 소개될 때 혼자 남아 남은 인생을 눈치 보지 않고 실컷 죽겠다 다짐하며, 실제 행동으로 옮긴다.
그러나, 혼자 만의 시간을 누리던 그녀에게 스콜이 지나간 어느 날, 괴동물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그 괴동물이 흔히 SF에서 보던 무섭고 기괴한 괴물들이 아니다. 사람과 다르게 생겼을 뿐, 그들도 나름의 공동체 운영 방식이 있고 의사소통과 감정의 교류는 인간의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오필리아가 괴동물들의 호기심을 채워주며 언어를 가르치는 방식들이 너무 아름다웠다. 마치 이제 막 옹알이를 시작한 아이를 키우듯 하나하나 눈높이에 맞춰 설명하는 오필리아는 영락없는 어머니의 모습이다. '내 이름은 자가주'라는 그림책에 등장하는 다양한 모습의 아들을 대하는 부모처럼 오필리아에게 괴동물들은 그저 겉모습만 다르다 뿐 천방지축 아이들이다.
책의 중간 중간에 괴동물(종족)편에서 서술된 이야기들이 나오는데 그들의 시선과 오필리아의 시선을 비교해가며 읽는 재미가 쏠쏠했다. 괴동물들은 인간과 달리 🔖오필리아에 대해 지켜볼 가치가, 배울 가치가 있다. (190p) 판단을 내린다.
🔖지금은 내 괴동물들이 내가 정한 한계를 존중해, 나를 존중해 (1231p)
괴동물은 오필리아의 모든 행동과 경험을 존중해 그녀에게 임신한 괴동물의 출산과 육아를 돕는 둥지수호자 역할을 부탁한다. 우여곡절 끝에 출산 과정에 동참하며 오필리아가 느꼈던 감정은 종을 뛰어넘는 것이다. 과거의 경험들과 느낌들이 소환된다. (304p)
지식은 뛰어나지만 지혜가 없는 사람들 (탐사선의 학자들), 그들은 지식의 우월함을 앞세워 못 배우고 늙어 생각이 느린 사람들을 폄하하고 무시하지만, 인생의 문제들이 늘 지식으로만 풀리던가. 괴동물과의 순조로운 상생과 협약은 오필리아라는 한 늙은 여인이 없었으면 절대 불가능했으리라. 지식인들은 자신들의 지식으로 괴동물을 판단하고 폄하할 뿐. 의사소통조차 제대로 시도하지 않는다. 자신들의 지식의 결과물에 대한 집착만 가득하다.
늙었지만 당당한 오필리아, 가끔 툭툭 내뱉는 그녀만의 유머 스타일도 좋고 시니컬한 말투도 좋다. 무엇보다도 괴동물에게 따뜻하게 내미는 그녀의 앙상한 손이 좋다. 나는 그녀가 그녀의 바람대로 인생을 마무리하게 돼 넘 기쁘다. 🥲
🔖좋은 둥지수호자는, 파란 망토는 설명했다, 새끼들이 모든 것에 관해 최대한 많이 배우기를,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태세를 갖추기를, ㅡ열광하기를 ㅡ바란다. 나쁜 둥지수호자는 새끼들이 계속 같은 것에 만족하게 만들어 그들이 안온한 삶을 살기를 바란다. (368p)
*푸른숲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쓴 개인적 감상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