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답이라는 해답 - 과학사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김태호 지음 / 창비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
내가 기존에 생각했던 과학이 '결론의 과학'이라면 이 책은 과학은 평범한 선구자들의 오답과 탐구의 레이어들이 켜켜이 쌓아 만들어지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어렸을 때, 꿈이 과학자인 아이들의 상당수는 자신이 닮고 싶은 인물로 해외의 유명한 아인슈타인 같은 과학자들을 많이 언급했다. 이 책에서 다룬 한국 과학사를 읽고 나면 시대와는 상관없이 탐구와 호기심, 열정으로 과학자의 길을 묵묵히 걸었던 많은 한국 과학자들이 있었음을 알게 된다. 우리는 한국 과학자라고 하면 '씨 없는 수박'의 우장춘 박사를 떠올리지만, 오히려 그는 '씨 없는 수박'을 만든 사람이 아니라 배추 속 원예 작물의 유전 연구와 품종개량을 연구했다고 한다. 이름도 낯선 많은 과학자들이 시대적 상황 (일본 강점기, 한국 전쟁 등)으로 그들의 업적을 인정받지 못하거나, 제대로 연구를 어어 나가지 못한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또한 시대적 특수성으로 외국인 과학자들의 기여를 무시한 채 한국 과학사를 얘기 할 수 없다. 노벨상 후보까지 거론됐던 김양하 씨가 월북함으로 그 이후 행적을 알 수 없게 된 사실도 참 안타깝다. 이런 한국 과학사를 학창시절에 배웠더라면.

저자는, 과학영웅을 찾거나 과학이라는 것을 오로지 산업과 경제에 이바지하는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을 경계하고, 과학, 그 자체를 목적으로 즐기지 않으면 발전할 수 없다는 걸 깨닫게 한다.

과학이라는 분야야말로, 과학자들의 오답에 관대하고 그들이 결과 지상주의에 휘둘리지 않도록 시간의 문을 열어 두어야 하지 않나 생각이 든다. 과학자들의 과학 자체에 대한 즐거움과 호기심이 퇴색되거나 지치지 않도록 말이다. 과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위하여.

📖 과학은 우리가 감각으로 경험하는 것을 설명하는 데서 출발하지만, 생각보다 자주 우리 감각과는 다른 사실들을 알려주곤 한다. (47p)

📖 대표적인 상징이나 문장 하나로 인물을 기억하려는 우리의 버릇도 반성해 보아야 한다. 무조건 '간단 요약'을 선호하는 마음을 파고드는 데는 속설만 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149p)

#서평단자격으로작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