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바칼로레아 IB가 답이다 - 이미 최고의 교육으로 주목받는 IB의 모든 것
김나윤.강유경 지음 / 라온북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으로의 교육은 어떻게 되어질까요? AI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지금의 교육 형태로는 안 된다는 이야기는 많이 접했지만 코로나19로 아이들이 학교에 제대로 등교하지도 못하는 사태가 지속되니 교육에 대해 미리부터 새로운 고민들이 생기는 시기인 것 같아요.

미국에서는 점점 더 많은 학교들이 고등교육과정인 디플로마 프로그램(DP)을 도입하고 있다고 하고 일본의 경우도 2013년부터 IB 교육의 공교육 도입을 준비하여 이 과정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IB인증을 받기 위해 준비 중인 학교들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라는데...
도대체
국제 바칼로레아(IB)가 무얼까요?​

IB 교육은
처음에
세계 여러 나라를 거치며
성장하게 되는 외교관 자녀들에게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고 하네요.


그러나 읽으면서 정작 IB가 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잘 모르겠더군요. ^^;;항상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이야기 할 때 주입식 수업이나 사교육 등을 언급하는데 역시 동일한 이야기들이 나열되더군요.

IB 교육자체에 대한 이해는 이런 개념적인 글보다 수업을 직접 보는게 훨씬 효과적이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유투브에 연결되는 QR코드라도 있었음 좋지않았을까 싶더군요. ^^;;

4차산업혁명이 몰고올 미래에 비판적 사고, 창의력, 의사소통 능력같은 경쟁력이 중요하다고 얘기하면서
이 책을 통해 IB를 소개하는 방식은 별로 IB적인게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어요. 기존의 주입식 설명인 듯한...ㅎㅎ^^;;

IB는 결국 한 교육과정인 것 같은데 본부가 스위스에 있고 국제 대입 과정 개념으로 이해하면 좀 쉬울 것 같아요.
세계 순위권 대학에 입학하려면 IB 점수가 필수라고 얘기하고 있어요.

결국 유학 예정인 사람들에게만 유익한 정보일까요?

​필자들은 우리나라에서도 4차 산업혁명에 맞는 교육을 하기위해서 IB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IB가 이미 도입해서 운영되고 있는 지역들이 있다고 하는데요.
저는 몇 가지 걱정이 되더군요.
우리나라는 특히나 학생, 학부모 모두가 평가 및 입시에 연결되니 엄청 예민한 부분인데 서술형으로 거의 평가가 진행될 때 그것을 제대로 평가할 만한 교사들이 준비되고 있는 것인지...
교사양성과정 및 평가의 신뢰성 등...

장기적으로는 IB도입으로 국내의 대입과정에도 그대로 적용할 예정인 것인지...
여러가지 의문점들과 걱정들이 먼저 들긴했어요.

아주 오랜시간의 과도기라는 혼란의 시기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고요.

대한민국 공교육에 IB 교육과정 도입은 초읽기에 접어들고 있다고 하는데, 제발 성급하게 진행시키지말고 IB교육과정에 알맞는 교사양성과정부터 서서히 잘 준비되고 점차적으로 진행되면 좋겠다 싶네요. 꼭 추진할 예정이라면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