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인간 - 제155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무라타 사야카 지음, 김석희 옮김 / 살림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후루쿠라 게이코가 편의점에서 일하면서 손님의 미세한 몸짓이나 시선을 자동으로 알아차리고, 몸이 반사적으로 움직인다.. 면서 시작됩니다.

어렸을 때 일화는 책을 열면서 흥미를 더했습니다.
공원의 새의 장례식(죽은 것을 위해, 생물을 죽여가며 '아름다운 꽃이네.분명 작은 새도 기뻐할 거야' 하며 같은 생각을 계속 주입하려는 어머니)
초등학교에 갓 들어갔을 체육시간.
('누가 좀 말려줘!' 하는 비명 소리에 삽을 들고 날뛰는 아이한데 달려가 그애 머리를 삽으로 후려친일)
히스테리른 부리던 젊은 여교사를 조용히 시킨일까지

초등학교의 일이 있은 후
부모의 대화 속에서 '나는 고치지 않으면 안 된다' 고 생각하며 점점어른이 되어가는 게이코

편의점에서 일을 하며
세상에 불만이 많고, 자신은 뚜렷하게 내세울 것 없는 "사라하"를 만납니다.

사라하에 대하여 이야기 했을 때 모두가 받아 들이고 싶지도 않고, 우울증도 아니며, 자기보다 약한 듯 보이는 게이코는 마구 무시하고,상처 주는 말도 막하지만
동생의 처(자기보다 강해 보이는 자)에게는 고개 숙이고 한 마디도 못 하는 사람으로 "자존감"이 떨어지는 존재라고들 입을 모았습니다.

그에 대응하는 후루쿠라 게이코는 그의 말에"그럴 수도 있겠군"하는 식에 담대함을 보여 자존감이 높고 자신의 일에 만족하고 남에게 피해도 주지 않고 조용히 살아가는데 주변인들이 그녀를 계속 그들의 세계로 끌어들이려 함에 우리 모두의 모습 같아.
미안한 마음도 있었습니다.

일본 사회에서는 최하( 유학생, 잠깐 스쳐가는 아르바이트 직) 생활로 여겨지는 편의점 직원을 남의 시선에 매이지 않고,
자신에게는 활기를 넣어주고, 삶의 이유가 됨으로 정규직 의 기회를 포기하고 사하라도 끊어 내고 돌아간다는 결말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였습니다.

우리가 그녀처럼 하지는 못 하고, 우리는 무엇에 따른 것인 지는 모르겠지만 보통 사람들이 주로 가는 길을 걸으며 있는데...정말 우리 주변에"편의점 인간"들이 생각보다 많을 수 있겠 구나를 느꼈습니다.

그러면서
1학년 축구, 생활 체육등 각반 팀을 짜서 진행하는 활동도 누구를 위한 것인지 생각해보고,
동민님의 주변에 비슷한 사례(특이한 도련님)가 있어서 주인공을 보며 도련님을 조금 알 수 있는 기회여서 더 즐거웠다고 하셨어요^^

우리가 큰 무리에서 나오려 할 때마다.
항상 있었던 크고 작은 일.
컴퓨터 인터넷 뒤에 숨어 남들을 무시하는 "일베" 이야기도 하며 짧은 오전시간이 다~~ 가버렸습니다.

저는 항상 책을 읽고 나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작가와 책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하고 집으로 돌아와서 항상 이시간이 즐겁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