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인간 -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문학동네 우리 시대의 명강의 2
정병설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은 영웅이 흠결이 없기를 바란다. 하지만 위대한 업적을 쌓은 영웅도 사람인지라 인생을 살면서 실수나 잘못된 행동을 한다. 많은 사람들은 생각지도 못한 영웅의 어두운 면을 보게 되면 당혹해하며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영웅도 인간이라며 사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거나, 그냥 눈을 돌려 무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어두운 면을 영웅의 이미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다르게 해석하기도 한다.

 

 그런데 다르게 해석하는 행위가 믿을만한 근거 자료에 의한다면 괜찮겠지만, 자신의 생각에 맞게 근거자료를 취사선택하거나 왜곡을 하고 심지어 생각에 반하는 자료는 거짓이라며 배제하고 행해진다면 문제가 된다.

 

 사도세자의 당쟁희생설이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사도세자는 원래 무예가 뛰어나고 총명한편이었는데 대리청정을 하면서 성향이 소론에 가까워 미움을 산 영조와 노론 일파에 의해 살해당했으며, <영조실록>·<승정원일기>·<한중록>과 같이 광증에 휩싸여 잔인한 모습을 보이는 사도세자와 관련된 기록들은 노론에 의해 날조되어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당쟁희생설의 대략적인 내용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 저자는 당쟁희생설을 부정한다. 저자는 사도세자가 죽은 이유로 광증설을 들고 있다. 어린시절 자신을 미워했던 아버지의 정신적인 압박과 자신의 예술가적 기질에 맞지 않은 현학적인 교육에 고통받은 세자가 결국 정신에 이상이 생겨 광증을 보이며 사람들을 학살하고 영조를 죽이려고 시도하는 역심이 드러나자 결국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당쟁희생설 지지자들이 부정하는 기록인 <영조실록>·<승정원일기> 그리고 자신이 철저하게 연구한 <한중록>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당쟁희생설의 진실 여부가 왜 논란이 될까? 사도세자의 죽은 이유가 조선사에서 중요한 논란이 되는 것은 사도세자의 인물됨을 아는 것이 중요하기보다 아들 정조에 대한 평가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의 인기 있는 군왕으로 단연 정조는 으뜸가는 인물이다. 교과서·대중역사서·영화·드라마를 막론하고 역사를 다루기만 하면 거의 전부라 할 정도로 정조는 효성이 지극하고 문무를 겸비한 빼어난 영웅으로 묘사된다. 현재 많은 사람들은 영웅의 이미지를 가진 정조를 받아들이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정조라는 인물을 빛내는 영웅 이미지는 사람들이 그가 하는 행동은 모두 의로울 것이라 생각하도록 강하게 유도하여 정조 반대편의 주장을 믿지 않도록 하는데 강한 역할을 하는데 있다.

 

 정조는 즉위기간 동안 생전에 조부인 영조의 뜻에 반해 생부(生父)인 사도세자의 정당화 작업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 문제는 공을 들인 내용이 성묘나 추모 정도에 머물렀으면 좋았겠지만 그게 아니라 사도세자에 대한 기록의 작성과 삭제도 있다. 정조는 영조가 죽기 한달 전인 17762월에 사도세자의 비행에 관련된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세초해달라고 했으며 수원으로 사도세자의 무덤을 이장할 때는 행장에 사도세자가 생전 아무런 광증이 없었던 것으로 기록하게 했으며 별다른 일을 하지 않았던 사도세자의 온양거둥을 온궁사실이라는 책을 만들면서까지 많은 일을 한 것처럼 과장했다. 간단히 말하자면 역사왜곡이다.

 

 많은 사람들은 정조가 역사 왜곡을 했다는 사실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는 정조같은 훌륭한 인물이 그런 일을 할 리가 없다는 믿음이 강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 책을 읽으려면 우선 정조가 가진 이미지에 현혹되지 않고 선악을 행하는 한 사람으로서 정조를 다소 객관적으로 대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 책을 읽어도 거부감만 들어 눈에 들어오는 내용은 별로 많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당쟁희생설을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논파하고 광증설을 주장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지만, 노론과 소론의 대립관계, 영조와 사도세자의 성격 분석, 영조를 출산한 숙빈 최씨의 출신, 사도세자의 사인(死因)을 둘러싼 학계의 연구현황, 조선시대의 여성들의 생활상, 역사연구의 방법 및 주의해야할 점, 이덕일의 사도세자의 고백 반박 등 다양한 읽을거리도 많은 책이다. 영정조 시대의 중요한 중심사건과 쟁점은 거의 다 포함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사극에 관심이 있다면 집에서 조용하게 커피한잔 마시면서 차분하게 읽으면 많은 상식을 얻을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마음에 들었던 책의 문구 하나. ‘나는 누구나 자기가 뚫은 문구멍을 통해 세계를 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 책이 영정조시대를 보는 문구멍을 넓히는데 분명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