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인문학 - 인간의식의 진화에서 꿈의 역할은 무엇인가
싯다르타 히베이루 지음, 조은아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보통 꿈을 꾸면 무당분들에게 해몽을 맡기곤 한다.

그 꿈의 의미에 해석은 우리에 대한 미래를 점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미신이라는 폄훼 섞인 말들과 과학의 이성주의로 무장된 현대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아무 관심도 없는 주제가 되어가고 있다.

이 책은 그런 잃어버린 꿈을 현대에 어떻게 회복하는지에 대한 꿈 과학자의 여정을 그린 책이다.

꿈이라는 것을 과거에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생각했는가?

작가의 질문을 통해 내가 생각할수 있는 것들은 딱히 많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끽 해봐야 바보로 나오는 캐릭터가 생각이 날까?

이 상상력의 빈약함을 채워주는 글들을 읽고 나면서 상상력의 빈부분을 매워 나가는 느낌을 받았다.

이 매워진 부분은 생존이라는 주제가 조상들이 꿈 꾸는 주된 부분이라는 사실이다.

당연하지 않은가?

거대한 동물들이 자신들을 잡아먹는 꿈을 꾼다는 것을 말이다.

이것을 우리는 현대에 와서 시험이라는 공포로 치환했다는 것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 힘들게 적응하면서 악몽을 경험한 작가의 글

우리는 생존을 위해 악몽을 꾼다.

서파수면과 렘수면의 세타파로 본 우리들이 꿈을 어떻게 꾸는지에 대해 이해하게 해줬다.

우리는 꿈을 꾸면서 본다는 것이 뭘까?

꿈을 꾸면서 시각 피질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주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 부분을 읽었다.

이 부분에서 꿈은 현실이고 현실은 꿈이라는 말을 적었는데 왜 그랬는지는 잘모르겠다.

포유류는 인간이고 인간은 동물이다.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는 수인화에 대한 꿈을 꾼다. 켄타우로스, 구미호 등등

포유류들은 반대로 우리를 보면서 꿈꾸는게 인간화에 대한 꿈을 꾸지 않을까?

포유류는 우리와 같은 렘수면을 하기 때문이다.

환각과 회복에 대한 부분은 장기 우울증 환자인 내게는 희망적인 내용이였지만

환각물질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환경인 우리나라는 계속 방치만 될 문제일 것이다.

제약회사의 이권이 작용된 부분이기에 나 또한 피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기에 우울증약을 끊은지도 이제 8개월은 지난 것 같다.

꿈이 주는 미래예시는 확률론적이다.

신이라는 존재는 우리가 망자에 대한 꿈을 꾸면서 그 꿈을 말하면서 생긴 것이다.

전쟁이 일어날때 꿈은 전쟁승리를 위한 기폭제가 되었다.

그 꿈을 꾸었다는 사실증명보다 그 꿈으로 인해 작용된 현실을 비라보아야한다.

예지몽을 꾸기 위한 작업을 보면 바라는 꿈을 꿀수 있다는 사실이 오묘하게 생각하게 만든다.

꿈이 주는 현실감이 높을수록 현실에 반영이 된다.

수학자 중에서도 라마누잔만이 수학적 꿈을 꾸었다.

방대한 꿈정보를 단 한권의 책에 담았고 마지막 부분 꿈을 현재로 회복시켜야 하는 부분을 읽으면서 우울증 치료에 대한 희망을 유지시켜 주는 책이였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몽실북서평단#몽실북클럽#꿈의인문학#흐름출판#싯다르타히베이루#박문호박사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