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 크로마뇽 시리즈 1
정준호 지음 / 후마니타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생충뿐 아니라 역사와 세계, 현실에 대한 이야기가 종횡무진. 게다가 재밌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교육 2011.5.6 - 2호
교육공동체벗 편집부 지음 / 교육공동체벗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나는 공부를 하는 목적은 동시대성을 깨닫고 당대에 대해 나와 인식을 같이하는 사람과 동료를 맺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것을 인문학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문학이라는이름에는 공부는 개인이 수행하는 성찰적이고 고독한 행위라는 부르주아지화된 냄새가 너무 강하다. 공부는 그보다 훨씬 더 집합적으로 자유와 해방을 추구하는 행위이다. 파울로 프레이리는 <페다고지>에서 "자기 내부에서 자유롭고자 하는 열망을 발견했을 때, 피억압자는 이 열망을 동료들과도 공유해야만 현실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고 말한다. 그렇기에 동시대성과 동료라는 관점에서 공부의 목적으로 설명하면 공부는 필연적으로 '정치' 공동체를 지향하는 공동의 행위가 되지 않을 수 없다.  

- <'동시대인'의 죽음, 동시대인의 '죽음'>, 엄기호, 30~31쪽 

 

아르바이트가 시간을 팔아 돈을 버는 일이라면, 장학금은 사연을 팔아 돈을 버는 일이다. 그래서 아르바이트로 몸이 지치고 고단한 것처럼 장학금은 마음을 지치게 만든다. 내 사연을 팔릴 만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내가 겪어 온 삶의 고유한 사연들을 버리고 전형적인 것으로 각색해야 했고, 심지어 때로는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해온 나의 노력을 송두리째 부정하고 나 자신의 무력함을 인정해야만 하는 아이러니와 마주하게 된다.(...) 평소에는 절대로 드러내서는 안 되는 가난함이 면담 동안에는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경쟁력이 되었다.(...)  한국에서 대학을 다니면서 아르바이트를 한다는것은 결코 강해지는 것이 아니다. 그저 주어진 매일을 견디고 버텨 나가는 일이다. 공부도 절반, 일도 절반 정도 간신히 중간을 맞추어 가면서 견디는 대학생의 삶은 능률이 낮고 성취감도 없다. 그렇게 견디어서 대학생활을 살아낸다고 해도 자수성가는 보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절대 내가 나약하거나 능력이 없기 때문이 아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대학 생활을 끝까지 해냈다는 것, 이것만으로도 나는 충분히 대단히 고된 일을 해냈다고, '살아남았다고' 생각한다. 

-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는, 가난할수록 공부할 수 없는>, 서유정, 96~96, 10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교육 2011.3.4 - 창간호
교육공동체벗 편집부 지음 / 교육공동체벗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밑줄 긋기 기능이 되지 않아, 리뷰에 남긴다.  

 

진보적 교육 담론은 지금의 그것보다 훨씬 더 깊고 넓어야 한다. '신자유주의 정책이 경쟁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상투적인 말(적어도 우리 사이에서는 그렇다)을 반복하는 데서 나아가 그것이 우리 삶을 얼마나 황량하게 만드는지, 우리 내면을 얼마나 살벌하게 만드는지 생생하게 드러내야 한다. 공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누구나 쉽게 동의하는 구호를 외치는 데서 나아가 학교가 무의미한 청소년들이 학교 밖에서 어떻게 자신들의 영토를 만들어가는지 알아야 한다. 개천에서 용이 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는 데서 더 나아가 도대체 용이라는 게 뭔지를 물어야 한다ㅏ. 최소한의 생존을 보장하라는 요구에서 나아가 모든 사람의 존엄함을 보장하라고 당당하게 요구해야 한다. 등록금 인상 반대에서 나아가 누구나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울 수 있도록 공적으로 보장하는 보편적 학습권을 요구해야 한다.  

-<'희망의 페다고지'를 위하여>, 박복선, 8쪽 

 

아이들의 이러한 무기력과 권태 뒤편에는 '생각하고 싶지 않은, 거대하고 복잡하고 짜증나는 어떤 세계'가 있는 것이다. 아이들은 무기력하지만 또한 이 세계와의 대면을 주체적으로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학교 현장의 '교육 불가능'에 대한 사유>, 이계삼, 19쪽  

 

오늘날 사교육의 번성은 부모의 학력이나 사회의식, 사회적 지위와 무관하게 먹고사는 일이 너무나 강파른 곡예가 되어버린 현실과 그 개선의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공부에서 밀리면 끝'이라는 절박한 공포감에서 연유한 것이다.  

-같은 글, 25쪽  

 

등교 마감 시각이 되어 학교 교문이 스르르 닫히기 시작하면 그 이전까지 천천히 걷던 아이들도 선 안에 들어가기 위해 질주를 시작하듯이, 안정적인 삶으로 나 있는 문이 스르르 닫히기 시작하면서 경쟁은 더욱 극력해지는 것이다. (...) 이미, IMF 구제금융 시절 유년기를 보낸 아이들이 그 예민한 후각으로 학교라는 공간의 실질적인 무의미함을 선구적으로 자각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먹고살기 위한 경쟁에 뛰어든 부모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자라난 세대들이, 그중에서도 일찌감치 경쟁의 대열에서 자신이 가망 없다고 스스로 판단한 아이들이 일탈과 폭력으로써 이 체제를 들이받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같은 글, 28~2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부르는 숲 - 미국 애팔래치아 산길 2,100마일에서 만난 우정과 대자연, 최신개정판
빌 브라이슨 지음, 홍은택 옮김 / 동아일보사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과연 빌 브라이슨! 과연 빌 브라이슨의 대표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낌의 공동체 - 신형철 산문 2006~2009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을 위해, 문학 때문에 사는 게 아니라 문학이 되어 살아가는 사람의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