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고 인 부에노스 아이레스 - 탱고를 찾아 떠나는 예술 기행
박종호 지음 / 시공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탱고를 찾아 떠나는 예술 기행

탱고 인 부에노스아이레스

 



풍월당 대표 박종호님 펴낸

나에게 조금 생소한

탱고와 예술이 담겨 진 책 한 권을 만났다.



탱고....

 춤 잘 추는 연애인들이 설이나 추석 특집으로 나와

춤을 추는 걸 본 게 다지만...

보고만 있어도 묘한 느낌이 들어

기회가 되면 배워 보고 싶다^^

 

 

탱고라고 하면 댄스 교습소가 먼저 떠 올려지지만

탱고는 발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귀로 하는 예술이라고 표현해 놓았다.

 

탱고의 고향은

아르헨티나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그곳에서는 탱고를 땅고라고 부른다고 한다.

 

 

이 책의 저자는

탱고에 관심을 갖고 탱고의 실체를 몸으로 부딪쳐 알아보고자

부에노스아이레스로 떠났고

그곳에서 귀와 눈이 새로운 자극으로 빛났고

심장은 쉬지 않고 벌렁거렸다고 한다.

 



탱고 인 부에노스아이레스를 통해

탱고가 무엇인지, 탱고란 과연 어떤 것이지를

하나 하나 알아 갈 수 있었다.

 

 

원래 탱고는 남자와 남자가 추는 춤이었다고 한다.

부두의 사내들이 창녀에게서 결코 받을 수 없던 마음의 위안을 찾아서

자기넫르끼리 부둥켜 안고 탱고를 추었던 것이다.

 

탱고는 그렇게 슬프게 시작 되었다.

 



책 곳곳에

탱고가 어떻게 심장을 뜨겁게 만들고,

어깨를 들썩이게 하고,

눈에 눈물이 고이게 할 수있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탱고 추는 남녀를 유심히 바라보면,

어느 순간에나 여자는 거의 한 발이며

그녀의 몸은 내내 남자에게 기대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참. 인생과 흡사하지 않은가.

사람은 혼자서 살기 힘들다.

 

사람이 누군가를 만나서 인생의 탱고를 춘다면,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다리 하나를 들 수 있을 것이다.

 

탱고는 두 사람의 끊임없는 관계 속에서 완성 되는 춤이다.

탱고는 인생이지만 소통의 인생이다.

혼자 추는 탱고는 없다.




책 안에 담겨 있는 음악을 들으며....

 

탱고의 매력에 빠져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