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연결하는 집 - 더불어 사는 공동체, 지역사회권
야마모토 리켄 지음, 이정환 옮김, 성상우 감수 / 안그라픽스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4년 프리츠커상 수상자 야마모토 리켄

그가 주장하는 지역생활권은 주거 형태의 변형을 통해 생활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건축 설계의 진정한 방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고령화와 독거의 시대에 더 나은 생활을 하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 주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파트는 어떤 형태로 진화해야 할 지지 궁금했는데,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그의 시도가 있었다.
그의 주제는 "연결", 이를 위한 재료는 "투명성"이다.
강남의 임대 아파트 단지와 판교의 단독주택단지
강남의 아파트에 대한 만족도는 확인할 수 없었다. 판교의 주거는 초기에 입주민의 반대가 심했지만 입주민들은 그곳에서의 삶에 만족했고, 건축가에게 감사의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단절된 밀실이 아닌 유연한 개방감을 통해 이웃과 연결되는 더 나은 삶을 꿈꾼다.

책 속에서 📖

p25. ‘내 집’을 소유하도록 철저하게 유도해놓고 이후에는 모든 것을 본인의 책임으로 돌려버리는 것이다.

p114-115. 주거전용지구라는 사고방식, 그리고 그곳에 만들어지는 가족전용주택이라는 사고방식은 이제 파탄에 이르렀다. 기존 주택지의 ‘지역사회권화’는 곧 ‘탈전용주택화’다.

p143. 일단 집을 소유하면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이것은 ‘내 집 소유’ 정책의 결점으로 소유자 입장에서는 큰 부담이지요. 지역사회권에서는 상황에 따라 임차하는 넓이를 증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만으로도 주택 부담에서 해방될 수 있어요.

p152. 현재의 자본주의에서는 분할판매가 쉬운 균질한 것을 거래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지역사회권에서는 사생활과 공공영역 사이에 ‘공동’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경계를 부드럽게, 애매하게 만드는 장소의 특성을 살려냅니다.

‘판교 하우징’
p160. 손님을 맞이하는, 즉 외부에 열려 있는 장소와 개인적인 장소가 확실히 구분되어 있었다. 한국의 전통주택뿐 아니라 어떤 주택이건 그런 구조야말로 주택을 외부사회와 접속시키는 가장 중요한 구조였다. 그런 주택이 사라지고 단순히 밀실 같은 주택으로 변한 것은 근대화 이후에 주택이 대량으로 공급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특히 주택이 민간주택업자에 의해 상품으로 공급되기 시작한 이후부터다. 하지만 앞으로 전개될 고령화 사회에서 그런 밀실 같은 주택은 제 역할을 할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전통적인 주택으로 되돌리자는 뜻은 아니다. 현재 우리 시대에 어울리는 주택을 우리 자신이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강남하우징’
p183. 사실 이 강남프로젝트는 사행활 보호라는 ‘상식’이 지금까지 지역공통체 형성에 얼마나 많은 손실을 끼쳤는지 생각한다는 의미에서 출발했다.

앞으로 한국사회에서도 지역사회권 같은 주거방식이 반드시 요구될 것이다. 지역사회권시스템은 1가구 1주택시스템을 대신해 앞으로 고령화사회에서 가장 가능성 있는 주거방식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