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끕 언어 - 비속어, 세상에 딴지 걸다
권희린 지음 / 네시간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 때는 멋져보이기 위해서 강해 보이기 위해서 의식적으로 사용하던 비속어를 철이 들고나서 버려야겠다고 생각햇고, 이제 나름 비속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자부심 아닌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끄런데 그러고나니 나 아닌 다른 사람들이 비속어를 사용하는 것을 들을 때마다 절로 눈살이 찌푸려지며 그 사람과 일종의 괴리감 같은 것을 느끼게 되었다. 예전에는 나도 흔히 사용하던 말을 지금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 말을 사용하는 사람이 아무리 가까운 사람이라 하더라도 어색하게 느껴지는건 좀 문제라는 생각이 들어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책에는 우리가 흔히사용하는 비속어들의 유래와 사용 예들이 필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함께 제시되어 있다. 국어 교사라는 저자의 직업 때문에 아이들에게 하루에 하나씩 비속어의 어원을 알려주기 시작하면서 자신도 비속어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요즘 아이들에게 그런말 쓰지마 라고 하는 것 보단 쓸 때 쓰더라도 알고 쓰라는 선생님의 진심어린 염려가 느껴지는 대목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놀라웟던 점은 비속어를 겅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내가 흔히 사용하는 말들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비속어를 어디서 어디까지로 규정하느냐는 개인에 따라서 의견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생각보다 내가 정확한 유래나 뜻을 모르고 사용한 말들이 많았다는 의미도 되므로 나 자신에 대해 반성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나오는 여러가지 자주 사용하는비속어들 가운데는 아주 ㅗ래전부터 우리 조상님들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말이 있는가하면, 요즘 새로 생겨난 말이나, 근래에 와서 변형된 말들도 포함되어 있어 언어의 역사성을 새삼 실감할 수 있게 만든다. 그냥 단어들만 짤막짤마막하게 해석해 놓지 않고, 사람을 끌어들이는 필력을 발휘해 마치 이야기하듯 써내려간 책에서 저자의 그동안의 교직 생활에서의 경험담과 느낀점등을 함께 읽을 수 있어 책장이 술술 잘 넘어간다. 그 중에도 저자가 화를 표출하던 방식으로 사용했다는 '거지 같다' 라는 표현에 대해 어떤 가난한 학생이 그 말을들을 때마다 마음이 힘들다며, '거지가 나쁜건 아니잖아요.' 라고 했다는 일화가 마음속에 많이 남는다. 혹시 나도 누군가에게 상처가 되는 말을 무심결에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나 않았는지, 앞으로 내가 하는 말들에 대해 한번 쯤 되돌아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비속어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안니더라도 요즘 청소년들이나 학교 교육 등에 관련된 사람이나 관심있는 독자자들이 읽기에 좋은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