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에서 연어낚시
폴 토데이 지음, 김소정 옮김 / 마시멜로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모순적인 두 개의 단어가 함께하는 제목에 이끌려 책을 읽게 되었다. 사막에서 연어를 낚는다니... 이런 황당한 제안에 주인공 존스는 처음에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이 프로젝트의 스폰서인 예멘의 어느 부유한 족장을 만나게 된 뒤로 생각을 바꾸게 된다. 족장은 어떤 과학적인 근거를 들어 어류학자인 존스를 설득하지 않았지만, 모든 예멘이 국민들이 연어 낚시의 여유와 기쁨을 누리기를 바라는 족장의 진정어린 마음이 그를 감동시켰고, 진심으로 염원하면 꼭 이루어질 수 있다는 족장의 신념이 그를 움직이게 한 것 같다.

족장과 헤리엇, 존스 세 사람에게는 꿈의 도전이었던 이 연어 프로젝트는 수상과 그의 정치 참모인 맥스웰에게는 잦은 전쟁과 대립으로 민심이 흉흉해진 중동 지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포장하므로써 차기의 권력을 노리는 정치적 수단으로 인식된다. 그들은 자신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연어 프로젝트를 주장했다가 버렸다가를 손바닥 뒤집듯 반복하는데 어느 나라나 장치판은 비슷하구나 라는 생각이 마음이 씁쓸해졌다.

생각을 많이 하게 하지만 많은 생각을 해도 작가가 의도한 정확한 메시지는 잘 파악이 되지 않는데 그 덕분에 더욱더 곱씹게 되는 책인 것 같다. 완전히 소화하려면 내가 좀 더 나이가 든 후에 한 번 쯤 더 읽어 보아야 하지 않을까? 족장은 정말 그가 말한 그런 의도에서 연어 낚시를 주장했던 것일까? 서견치 않은 이 책의 결말이 웬지 그런 생각을 불러 일으킨다. 웬지 족장에게는 그가 존스와 헤리엇에게 이야기한 것 이상의 의도가 숨겨져 있는 것만 같다. 어떻게 보면 반전이라고도 할 수 잇는 이 결말 부분을 위해 책을 보다 꼼꼼히 읽어 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내가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책에서 주장하는 예멘 연어 방류에 관한 이론이 어느정도 신빙성이 있는지 알 수는 없지만, 매우 설득력 있게 들리기도 한다. 처음에는 그것이 연어들의 터전을 강제로 옮기는 일이기 때문에 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부정적으로만 생각했는데 존스 박사 일행은 양식 중인 연어를 구입하여 예멘에 방류하므로써 윤리적문제에 대한 고민을 드러내고 있다. 물론, 모든 이누이적인 것에는 그에 따른 부작용이 따른다고 믿는 나이기 때문에 이 프로젝트에 무조건 찬성할 수는 없지만, 무섭도록 \빠르게 발전하는 과학의 힘이 이와같은일을 가능하게 할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