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서블로 시작하는 인프라 자동화 - 기초부터 실무까지, 플레이북 예제로 마스터하는 앤서블
장현정.이태훈.김병수 지음 / 한빛미디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 ‘앤서블로 시작하는 인프라 자동화’는 시스템 관리자와 운영자, 인프라 엔지니어, 클라우드 시스템 엔지니어, 데브옵스 엔지니어, 자동화 프로세스 개발자, 그리고 리눅스 기초 지식이 있으며 앤서블을 배우고자 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참고로 나는 게임 기획자이고, 인프라 엔지니어와 친하게 지내기는 하지만 인프라 관리 쪽은 잘 모르고, 리눅스 기초 지식이 있으면서 앤서블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다. 그러니 엔지니어 관점이 아니라 리눅스를 핥은 적 있는 기획자의 시선에서 이 책을 읽고 후기를 적었음을 알아주길 바란다.



개인적으로 좋았던 부분은 명령어나 메뉴 이름, 파일명 등을 서체를 다르게 해서 표시한 부분, 코드블록을 보여줄 때 명령어와 주요 구문은 굵게 표시하고, 여러 명령어가 있을 때 명령어별로 주석 구문을 추가한 부분이다. 코드 짜다가 세미콜론을 빼먹는다던가, 파이썬에서 스페이스 잘못 누른다든가 하는 등의 오류를 범할 수 있는데, 앤서블도 특성상 스페이스가 중요해서 스페이스가 몇 칸인지 표기해 준 부분이 좋았다.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전에도 다른 책을 통해 배운 적이 있었는데, 앤서블은 반복적인 작업을 많이 하는 시스템 엔지니어나 인프라와 시스템 관리 또는 개발을 담당하는 데브옵스 엔지니어, 클라우드 관리 포털 개발자도 사용할 수 있다. 


앤서블은 멱등성과 함께 시스템을 원하는 상태로 표현하여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동일한 운영 작업을 여러 번 실행해도 같은 결과를 낸다. 매일 점검해야 하는 시스템의 상태를 체크할 때 사용하기 좋은데, 그렇다면 매주 점검을 하는 시스템에도 사용하면 좋지 않을까란 생각을 잠시 했다. 우리 회사 인프라는 이걸 쓰고 있나..?



짧은 이론 설명을 넘기면, 본격적으로 책을 따라 실습을 할 수 있다. VM을 활용하여 실습 환경을 만들 수 있는데, 리눅스 환경에서는 버추얼 머신 매니저를, 윈도우와 맥에서는 오라클 버추얼박스를 이용하여 실습 환경을 만들도록 지도한다. 먼저 리눅스 환경에서 CentOS, Ubuntu, RHEL 세 가지 운영체제로 실습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가이드 하고 있고, 그 다음 윈도우 환경에서 세팅하는 방법을 가이드 해준다. 환경 설정을 마치고 앤서블을 설치하면 실습 준비 끝!



자동화 대상 호스트 선정, 플레이북 작성, 변수와 팩트 사용, 반복문과 조건문을 이용한 제어문 구현, 롤과 콘텐츠 컬렉션을 활용한 플레이북 구현 등의 기본 사용법과 기초 문법을 습득한 후, 3부에서 다양한 예제들을 통해 본격적인 앤서블 활용법을 배운다.



깃허브에서 레이북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쉽게 플레이북을 작성할 수 있다. 앤서블의 플레이북 작성은 곧 플레이북을 개발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 모든 개발에는 분석과 설계 단계가 필요하고, 앤서블 역시 사전 분석과 플레이북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책을 통해 플레이북 분석과 설계, 개발을 예제를 따라 차근차근 해볼 수 있다. 


(확실히 인문학 도서 같은 거면 그냥 읽고 감상을 쓰면 다인데, 기술 서적은 실습을 병행해야 이 책이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알 수 있어서 난도가 좀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기간을 길게 주는 걸까)


한 번 책을 통해 예제를 실습했다고 해서 바로 실무에 가져다 쓸 수 있을 정도가 되려면, 리눅스에 기초 지식이 있는 기획자인 나보다는 실제 인프라 업무를 하고 있는 인프라 엔지니어여야 할 것 같다. 앤서블은 보안 설정 자동화와 모니터링 자동화 등에 매우 유용해 보이는데, 실제로 내가 이걸 쓸만한 데는 클라우드 시스템 자동화 정도랄까. 19장과 20장에서 다루는 RBAC 적용 및 워크플로와 RBAC를 이용한 승인 프로세스 구현은 지금 승인 프로세스를 교체하고 싶어 하는 회사 윗분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내용인 것 같다.


내일 회사 갈 때 책을 슬쩍 가져가서 인프라 직원에게 추천해 줘볼까 한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