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사용설명서 - 블록체인과 메타버스가 바꿀 거의 모든 돈의 미래 NFT 사용설명서
맷 포트나우.큐해리슨 테리 지음, 남경보 옮김, 이장우 감수 / 여의도책방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우야우 입니다^^

NFT, 블록체인, 메타버스, 코인, 토큰

요즘 어디에서나 많이 보게 되는 단어입니다.

이 중에서 제가 알고 있거나 경험해 본 부분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하지만 궁금했어요. 도대체 어떤 걸까? 정말 미래에는 이걸 꼭 알아야 할까?

이런 호기심을 해소해 보고자 도전해 본 책

' NFT 사용설명서 '

처음 접하는 단어들이 너무 어렵게 느껴졌어요.

하지만 차근차근 읽어 보았어요. 중간 정도 지나서 NFT 만들기 부분에서부터는 차라리 읽기가 쉬웠어요. NFT를 만들고 판매하는 과정을 한국에서 유저가 많은 사이트를 예로 설명해 주어서 읽기 편했고, 천천히 따라 해 보면 그리 어려울 건 없을 것 같은 느낌이었어요.

보다 중요한 건 이 NFT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인데 저도 사실 이 분야에 대해서는 완전 초보자이기 때문에 제가 이해한 정도로 포스팅할 수밖에 없는 점은 이해해 주시고 읽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NFT란 무엇인가?

〔'대체 불가능 토큰 Non Fungible Token'이라는 뜻으로 NFT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고유한 디지털 수집품을 뜻한다. NFT는 출처, 소유권의 이력, 희소한 정도가 명확하게 기록되고 투명하게 공개되며, 네트워크에 영원히 존재할 수 있다. p25 〕

제가 알고 있던 NFT도 약간 수집품의 이미지가 강했어요. 어떤 디지털 그림이나 짧은 동영상 이런 것들은 구매하는 것 정도로 알고 있었어요.

그래서 어떤 디지털 미술품이나 그림 등을 구매해서 그것이 희소성이 있는 작품이었을 경우 돈을 많이 받고 팔 수 있는 재테크의 일종 정도로 알고 있어서 호기심이 생기기도 했고요.

제가 알고 있던 NFT에 대한 이미지가 아주 다른 개념은 아니었어요.

지금까지는 미술품이나 짧은 동영상, 야구카드 등 그런 것들을 NFT로 봐도 무방하지만 이것이 앞으로 미래에 어떤 영향력을 끼칠지 그것에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한 사항이라고 봅니다.

◆ 블록체인이란 개념은 모든 정보가 블록 안에 채워지고 그 블록이 다 채워지면 다른 블록에 정보가 저장되고 그것은 체인으로 연결됩니다.

모든 예술작품 중 50%가 위작이라는 설도 있듯이 예술작품은 복사나 따라 하기 등으로 실제로 유명한 미술관에서조차 위작을 사들이는 일도 허다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NFT는 처음 만들어지면 누구에게 파는지 누가 소유하는지가 모두 블록체인 안에 저장되기 때문에 절대 위조를 할 수 없고 투명성이 보장된다고 합니다. 거래가 많아질수록 체인이 길어지면서 모든 기록을 남기는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대체 불가능 이란 말이 생겨났습니다.

◆ 토큰코인은 어떻게 다를까요?

암호화폐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코인'이라는 용어와'토큰'이라는 용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곤 하지만 코인과 토큰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비트코인, 라이트 코인, 도지 코인같이 코인 형태의 암호화폐는 자체 블록체인을 갖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토큰은 자체 블록체인을 갖고 있지 않고 대신 다른 토큰의 블록체인을 사용합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이더리움(대다수의 NFT는 이곳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두고 있음 ) 블록체인은 현재 가장 규격화된 토큰 성격을 띠고 있어서 자기의 블록체인을 가지고 있지만 그걸 쓰지 않고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토큰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비트코인을 주고받을 때 그 코인이 어느 지갑에서 나왔던지 그 가치가 같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는데요. 석유도 통안의 석유가 품질만 같으면 같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는 크기 색상 투명도에 따라 가격이 다 다릅니다. 석유를 코인, 다이아몬드를 토큰이라고 보면 됩니다.

◆ 메타버스는 뭘까요?

메타버스는 공유 인터넷과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기술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의 정점입니다.

게임 속에서 메타버스도 있고, 유튜브 등에서 라이브 방송을 하며 동시에 같은 공간에 있는 것처럼 느끼는 것도 메타버스이고, 가상현실을 조금씩 경험해 볼 수 있는 플랫폼들도 점차 범위를 넓혀 가고 있습니다. 물론 이 모든 것이 하나의 세상에서 모두 일어날 일은 아주 먼 미래의 일일지 모르지만 점차 범위가 넓어질 것은 제가 봐도 가능성 있어 보입니다. 게임에서 한정판 아이템을 NFT 형태로 판매를 한다면? 게임을 즐기지 않는 제가 보기에도 꽤나 매력 있는 일일 것 같습니다.


NFT 마켓 플레이스

전 세계에서 가장 크고 유명한 NFT 마켓 플레이스는 오픈 시 OpenSea입니다. 오픈 시는 자신들이 NFT 마켓 플레이스의 원조라고 말하며 실제로 사용하기도 가장 편한 곳이라고 합니다.

오픈 시에 계정을 만들고 암호화폐 지갑(사용하기 쉬운 메타 마스크)를 만들고 지갑 주소도 만듭니다. 여기서 지갑 주소는 굉장히 중요한데 한 글자라도 틀리면 다른 곳으로 암호화폐가 보내질 수도 있어서 조심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 다음 오픈 시에 NFT를 민팅(NFT를 이더리움 블록체인상에 올리는 것을 의미) 하고 판매를 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해 줍니다.

그 과정에서 한국에서 원화로 암호화폐를 살 수 있는 업비트를 소개하며 인증하는 방법과 출금계좌 인증 등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설명이 들어가 있어서 놀라웠습니다. 이 글을 쓴 사람은 외국 사람이지만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부분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계정을 만들고 여러 가지를 만드는 작업은 하나 둘 따라 해 보면 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마저 들 만큼 친절하게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NFT 사용설명서를 읽으며 옛날에 인터넷 메일이 처음 생겨났을 때가 문득문득 떠올랐어요.

처음 이메일이 생겼을 때 어떻게 버튼 하나로 편지를 보낼 수 있는지 그 편지가 잘 도착했는지 불안해하며 조금씩 따라 해 보다가 결국 지금은 대부분 모든 파일들이 이메일로 전해지는 세상에서 살고 있습니다.

충분히 NFT 도 그러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되었어요. 지금은 미술품이나 수집품에 한정이 되어 있지만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고 어떤 다른 형태로 변형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입니다.

디지털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는 제가 읽어 보기에도 이 책은 NFT에 관한 교과서 같은 느낌이 들 정도입니다.

NFT의 역사와 중요성에 대한 폭넓은 정보와 단점이나 무조건 만들어 놓기만 한다고 해서 팔리지 않는다는 이야기까지 어느 하나 버릴 것 없는 알찬 내용이었어요.

디지털 자산이나 수집품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무조건 읽어 봐야 할 아주 중요한 책인 것 같고. 저도 이제 단어의 개념에 대해 이것이 왜 중요한지를 확실히 알게 해준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포스팅했습니다※

#NFT사용설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