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표정 참고서 2
마크 사이먼 지음, 비즈앤비즈 편집부 옮김 / 비즈앤비즈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극화라는 이름 하에 등장한 만화들은 좀 더 현실에 가까운 실사적 묘사를 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원점을 바라보았을 때에 만화는 '기호'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을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요즘 같은 풍토에서는 거의 일본만화(혹은 몇몇 유럽만화)에 한한 이야기지만 '극화'라는 용어를 따로 들고 나와야 할 만큼 '만화=간단한 기호적 표현'이라는 해석이 기본정의라는 것. 

특히 (일본만화를 위시한) 동양권에서 유행하는 만화는 유아의 얼굴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다수다. 이는 성인이 되면 될 수록, 인간으로서 누구나 가지는 기본적 특질보다 개개인이 가지는 개성이 특화되면서, 만화 주인공의 갖추어야할 특징 중 하나인 '누구나 감정 이입이 가능한 (기호적) 얼굴'에서 조금씩 멀어지기 때문이다. 

성인의 얼굴을 실은 전작과 달리 이번에는 유아부터 청소년까지-아동의 얼굴을 실었는데,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전작에 실린 성인 남녀의 얼굴을 기준 삼아 연습할 때 '만화적인 표현'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 사람이라면, 이번에 나온 두번째 참고서를 통해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각자의 개성이 특화돼 완성된 성인의 얼굴을 가지고 있었던 전작의 인물들은, 만화 주인공 보다는 작품 속에 묘사되는 '타자(조역이나 단역, 악역)'의 이미지에 더 가까웠는데, 이번 편의 유아동들은 각자의 개성이 나름 존재하면서도 아직 완성이 덜 돼 개성이 덜 나타난 얼굴을 가지고 있기 대문에 만화 주인공으로서 독자가 충분히 자신을 이입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귀여운 아이들의 표정을 보며 마음을 정화하는 것 또한 이 책의 또 다른 활용법이 될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