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하는 사람
텐도 아라타 지음, 권남희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어느 강박증 환자의 자기 합리과 과정이라고 평한다면 지나친 걸까? 성격적 취약성을 가진 주인공이 청년기에 친구의 죽음이라는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죄책감과 분노를 갖게 되었고 그것을 억압하는 과정에서 강박증이 발현하게 된 것 같다. 죽음과 책임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 그 생각으로 인한 불안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하는 반복적인 애도행위는 전형적인 강박증 증상으로 보인다.

 어떤 인물의 행동을 이렇게저렇게 평가하기보다..... 그 사람과의 만남으로 나는 무엇을 얻었나, 무엇을 남겼나 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강박증이니 뭐니 하는 것은 일단 제쳐두고 이 소설과의 만남으로 우리는 무엇을 얻었나? 생각은 해 볼일이다 싶다.

 내가 어떻게 되든 단 한 사람만은 날 이해하려고 애써줄 거라는 믿음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죽음 직전에서 목숨을 건진 소설 속 기자의 말이다. 마지막 순간에 그가 간절히 원했던 것은 이해받고 싶은 마음, 기억되고 싶은 마음이었나보다. 그 마음을 헤아려주는 주인공에 대한 고마움, 안도감이 자기 중심적이고 공감을 모르는 기자의 마음을 변화시킨다.
우리를 가장 힘들게 하는 것, 우리를 가장 두렵게 만드는 것을 나는 '외로움'이라고 생각한다. 혼자라는 느낌은 내 존재에 대한 인식마저도 불확실하게 만든다. 우리는 끊임없이 타자에 의해 확인받으면서 자아를 찾곤 하기 때문이다. 누군가에 의해 기억되는 것, 이해받는 것은 우리의 '외로움에 대한 깊은 두려움'을 완화시켜주고 우리의 존재를 확인시켜준다.

 지구가 터질 듯 많은 사람들, 시끄럽고 굉장한 함성들, 수많은 이야기들 속에 섞여 지내면서도 우리는 늘 외롭다. 사람들은 나라는 존재보다는 내가 가진 돈, 내가 가진 능력, 내가 가진 외모에만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그것들에 밀려 진짜 나의 존재는 기억되지도 이해되지도 못한다. 그런 우리에게 어쩌면 이 책의 주인공은 진짜 나 자신에게만 집중해준, 혜성처럼 나타난 위로자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책 속의 다른 사람들은 그를 이해하지 못한다. 기자나 주인공의 가족들을 제외하고는 다들 그에게 화를 내고 모욕당했다고 말한다. 그것은 아마 그의 애도행위가 그들 자신의 이기적인 게으름과 자기기만을 깨닫게 하고 직면하게 만들어서가 아닐까? 자신이 부정하고 싶은 모습을 맞닥뜨리면서 느끼는 자기에 대한 분노를 주인공에게 투사한 셈이다. 나 또한 마찬가지일지 모르겠다. 외로워서 어쩔 줄 모르는 내 모습에 대한 분노, 위로받고 인정받고 싶지만 막상 타인에게 그렇게 해주지 못하는 나 자신에 대한 분노, 덮어놓은 내 두려움을 들춰내고 있는 이 책의 어두운 그림자는 이 책에 별을 1개 반만 주고 주인공을 강박증 환자로 몰아붙이는 식으로 투사된 건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