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라이어 -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말콤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최인철 감수 / 김영사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성공의 의미라는 것이 워낙 자본주의적 색채가 강해 나 스스로 동의하지 않은 측면이 많아 성공신화와 관련된 책을 사실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책은 워낙 입소문이 대단한 책이었고, 글래드웰의 '그 개는 무엇을 보았나'를 이미 읽어 작가에 대한 어느 정도의 신뢰가 생긴 후였으므로 충분히 시도해 볼 가치는 있었다. 결과는? 괜찮았다.^^

 우리는 성공을 개인적인 요소에 따른 결과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가 살펴본 모든 사례는 어떤 것도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다. 우리가 발견한 것은 열심히 일할 수 있는 기회를 꽉 움켜진 후, 그 특별한 노력이 사회 전체로부터 보상받을 수 있는 시대를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였다. 그들의 성공은 그들만의 작품이 아니다. 그것은 그들이 자라난 세계의 산물이다. 

 저자는 우리가 가진 성공하는 사람에 대한 편견 - 특별한 재능과 높은 지능지수로 무장한 소수의 천재들-을 지적하고, 성공의 요소를 일정 수준의 재능과 노력 그리고 사회적, 경제적, 역사적 환경이 주는 기회로 설명한다. 

 성공의 첫 번째 요소인 재능에 대해 저자는 '범위효과'를 주장한다. 즉 성공을 위해서는 일정범위의 재능만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며 이를 초과하는 뭔가가 더 필요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를 테면 지능지수 115 까지는 지능지수와 성공이 비례한다고 볼 수 있으나 그 이상의 지능지수는 성공의 정도와는 무관하다. 그러니까 성공하려면 아이큐가 꼭 140이나 180이 아니어도 상관이 없다. 물론 이러한 결론은 여러 심리학자들의 종단 연구로 입증된 것이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줄세우기식 우리 교육이 얼마나 비합리적인 것인지 더욱 절절하게 느끼게 되었다. 쓸데없이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고 서로 차별하는 습관만 키워주니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성공의 또다른 요소인 노력에 대한 설명에서 그 유명한(?) '일만시간의 법칙'이 나온다.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주력 분야에 적어도 1만시간 이상을 투자하는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이다. 

 성취공식은 '재능 더하기 연습'이다. 문제는 심리학자들이 재능있는 이들의 경력을 관찰하면 할 수록 타고난 재능의 역할은 줄어들고 연습이 하는 역할은 커진다는 데 있다... 촤고중의 최고는 그냥 열심히 하는 게 아니라 훨씬, 훨씬 더 열심히 한다. 

 더이상의 설명이 필요없다. ^^ 

세번째 요소는 앞의 두가지 보다 훨씬 더 복합적이다.  그들을 둘러싼 모든 환경들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또한 그의 성공이 가치를 인정받는 바로 그때여야한다는 것이다. 어떤 부모밑에서 어떤 교육을 받을 수 있었는지, 어떤 사회적, 문화적 흐름 가운데 그들이 처해 있었는지는 이미 개인적 차원은 훌쩍 뛰어넘는 어떤 것이다. 그러니까 역사적, 세계적 차원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아웃라이어들은 탄생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늘 일종의 찬탄의 대상이었다. '어떻게 저럴 수 있었을까?' '정말 대단하군, 난 꿈도 못 꾸지.' 그러나 그들은 허공에 떠 있는, 도달할 수 없는 영역의 사람들은 아니었다. 최고의 타이밍과 최고의 노력이 만들어낸 우리 자신이었다. ㅋㅋㅋ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얻은 가장 큰 수확은 개인, 그 너머를 보는 습관이다. 사람을 독립된 개체로만 이해하는 것은 지나치게 제한적인 관점으로 그 사람을 보는 것이다. 그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를 둘러싼 관계의 거미줄을 이해해야 한다. 그 사람이 살고 있는 시간, 그 사람이 존재하는 공간, 그 사람이 관계를 맺는 사람들. 그 사람에게 영향을 끼친 교육, 문화, 사회적 분위기. 결국 우리는 수많은 필연의 산물이다. 그 모든 필연들을 무시하고 그 사람 개인에게만 모든 책임을 뒤집어 씌웠던 나의 무지에 대해 반성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