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 전방위적 지식인 정약용의 치학治學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06년 11월
평점 :
마쓰오카 씨가 '창조적인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에서 언급한 '편집공학'을 온몸으로 보여준 독서가이자 학자가 다산 정약용이 아닐까 싶다. 마쓰오카씨의 책을 읽으면서 내내 그 생각을 했었다.
강진에 있는 다산초당에 가 본 적이 있다. 언제 갔었는지 기억은 안나지만 왠지 춥고 쓸쓸해서 나도 모르게 '다산 선생 우울했겠다'고 생각했다. 그 곳에서 그를 지탱해준 것이 무엇이었을까? 그가 남긴 성과로 보면 학문에 정진하는 것이 그를 깊은 우울로부터 보호해주었을 수도 있겠고 아니면 우리가 모르는 다른 뭔가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다산이 그곳에서 어마어마한 저작을 만들어 낸 건 사실이다.
이 책은 다산의 엄청난 작업량에 대한 설명서이다. 다산이 자료를 선별, 분석해서 결과를 도출해내는 과정을 읽으면서 나는 요즘 우리들이 논문을 쓰는 그것과 유사하다는 생각을 했다. 다산이 조선시대 실학자가 아니라 21세기 대학의 연구실에서 연구하는 학자 같다는 상상이 될 정도였다. 학문의 방법은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는 것 같다.
인상적인 것은 다산이 정보를 장악하는 방법이었다. 다산은 맹목적인 독서를 배격하고 메모를 활용한 구조적인 독서를 강조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얻은 자료들을 분류하고 취합하여 정보의 우열을 가리고 그 중 긴요한 것들을 뽑아 목적에 받게 재배열했다. 마지막으로 거기에 자신의 생각을 덧붙여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내었다. 이러한 과정들은 공동작업을 통해 몇가지 주제에 따라 동시에 진행되었다. 말 그대로 열정적으로 지식을 경영하는 다산의 모습에서 초당의 을씨년스러움이 어느정도 사그라드는 기분이 들었다. '그 뜨거운 열정' - 스컬리가 멀더를 생각하면서 말한 대사다.^^- 그 열정은 어디에서 생겨서 어디로 향했던 것일까?
다산은 학문의 종지가 큰 줄거리를 결정하는데서 출발한다고 말했다. 효제를 바탕에 두고 예악으로 꾸미며 실용에 기여하는 내용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라면 저술할 가치조차 없다고 잘라 말했다.
쭉정이뿐 알맹이 없는 내용, 세상에 아무 보탬이 되지 않는 문학은 시끄러운 빈 수레요, 재주부리는 광대놀음에 불과하다. 제 몸만 아끼고 제 식솔만 챙기는 공부는 아무 짝에도 쓸 데가 없다.
학문의 근본은 내 주위를 둘러싼 사람들에 대한 사랑이다. 그 마음을 바탕으로 마땅히 해야 할 것들과 -공동의 가치기준- 우리의 감성을 살찌우는 것들을 세워나가되 뜬구름 잡는 탁상 공론이 아닌 실제적으로 우리의 생활에 기여 해야 하는 것이 학문이다. 나는 어떤 공부를 해왔는가? 내가 하고 있는 공부는 과연 인간에 대한 사랑을 잃지 않고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공부인가? 나 자신만 아끼고 나 자신만 살찌우는 것은 아닌가? 더 많이 나눠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읽은 것, 내가 공부한 것을 더 많이 나누고 나 자신을 성장시킴으로써 주변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사람이 되는 것. 그것이 내 공부의 목적이라고 하면 될까?
백성을 사랑하는 그 뜨거운 열정, 그 열정이 다산초당의 쓸쓸함을 이겼던 모양이다. 그 열정이 건강을 해치면서까지 읽고 쓰고 사색할 수 있었던 힘이었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