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필의 미학
이태동 지음 / 문예출판사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한국수필의 미학] 한국수필과 사랑에 빠지다

 김진섭의 <백설부>를 읽으면서, 나는 백설에게, 김진섭에게, 그리고 한국수필에게 온 마음을 빼앗겼다.  김진섭은 한국수필의 아버지라 불릴만큼 유명한 수필가인데, 이제서야 나는 그를 만났다는 것이 안타깝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하다. 한편으론 지금이라도 그를 만날 수 있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김진섭의 아호는 청천(聽川). 강을 듣다. 평범한 일상과 자연이 내는 특별한 소리에 귀기울이는, 수필가 '김진섭'다운 아호이다.

 

 수필은 짧은 문학이다. 그러나 그의 문장은 호흡이 길다. 한 문장이 열 줄을 넘기기 일쑤이다. 마침표 없이, 쉼표로 이어지는 긴 문장들은 막힘이 없고 아름답다. 그가 얼마나 공들여 문장을 짓고, 수 번을 소리내 읽으며 퇴고했을지 상상이 간다. 김진섭의 수필에는 한자어와 수식어가 많은데, 거부감이 전혀 들지 않으니 신기할 노릇이다. 마치 시 감상을 하듯, 한 문장, 한 문장을 되내이게 되니, 수필의 아름다움이란 이런 것인가, 하고 절로 흐뭇해진다.

 

 수 없이 백설을 볼 때마다 느꼈지만, 입 밖으로 내거나 글로 옮길 능력이 안되어, 머릿속에 백설, 그 자체로 담아 두었던 심상을, <백설부>에서 만났다. 1939년 발표된 <백설부>에서 읽혀지는 백설의 기쁨이, 2014년 겨울의 백설의 기쁨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 신기하다. 1903년 생인 그의 감수성에서 동질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 또 한번 신기하다.

 

 수필을 쓴다는 것은, 창작보다 발견에 가까운 행동일지도 모르겠다. 내 눈길이 닿기를, 내가 그 소리에 귀기울일 수 있기를, 만물이 춤추고 노래하면서 손짓하고 있을까. 2015년 초봄, 내 일상에는 김진섭의 바람이 불고, 한국 수필의 꽃봉오리가 피어날 준비를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이너리티 리포트
황숙진 지음 / 작가와비평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이너리티 리포트 중 ‘미국인 거지’는 누가 누구에게 마이너리티라는 꼬리표를 달아 주었는지를 생각하게 한 소설이다.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은 미국으로 이민을 왔다가 적응에 실패한 알코올 중독자이다. 그가 새 출발을 위해 일자리를 구한 곳에서 미국인 거지를 한명 만난다. 미국인 거지는 지능이 낮아 보이고, 때로는 이상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 주인공이 미국인 거지의 행동이 엄호였음을 알아차릴 수 있었던 것은 주인공과 미국인 거지가 전쟁의 트라우마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불행하게도, 한편으론 매우 현실성 있게도, 주인공과 미국인 거지는 끝까지 전쟁의 트라우마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으로 소설은 끝난다.

 

 전쟁의 트라우마로 고통 받는 피해자는 있으나, 이들을 돌보아줄 주체는 어디에도 없는 현실. 전쟁을 결정한 정부, 전쟁에서 지켜낸 사회 공동체, 가장 가까운 가족으로부터도 피해자들은 철저하게 외면당하는, 우리 사회의 마이너리티. 전쟁에 의한 피해의 범위는 한 개인의 평생에 걸친 정신적 트라우마도 포함되어 있음을 우리는 너무 쉽게 무시한다. 주인공과 미국인 거지의 삶 속에는 또 다른 전쟁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었다.

 

  이 소설은 두 피해자가 서로의 상처를 보듬어 주고 연대함으로써 트라우마를 극복해내는 모습을 보여 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작가는 끝내 두 피해자의 인생을 죽음과알코올 중독 수용소로 내몬다.

 

  ‘미국인 거지’는 문장이 아름답거나, 특별한 반전이 있지는 않다. 하지만 누구라도 국가, 공동체, 가족으로부터 외면당하는 마이너리티가 될 수 있다는 끔찍한 현실을 솔직하게 그려냈다. 게다가 마이너리티 앞에서 나 또한 떳떳할 수 없다는 것에 마음을 무겁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