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원 삼대
황석영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사를 좋아한다. 특히 근현대사는 더더욱 좋아한다. 학생 때 내 역사 교과서들은 밑줄과 필기로 빽빽하게 들어차 있었다. 툭 치면 척 하고 나올 만큼 거의 모든 페이지를 외우고 다녔다. 수능 공부로 바쁜 고3 때 한국사 1급을 딴 건 순전히 내가 역덕(역사 덕후)이어서였다. 다른 모든 교과서는 바로바로 버린 지 오래지만, 고등학교 국사,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만큼은 아직도 간직하고 있는 이유도 그래서이다. 차마 버릴 수 없는, 나의 소중한 보물이다.

근현대사에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동의하겠지만 일제강점기는 완벽히 스펙터클한 블록버스터에 가깝다.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늘 항상 색다른 분노에 휩싸이게 하는 대목이며 알면 알수록 더욱더 형용할 수 없는 화에 치밀어 오르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시기다. 국사책에 이어 근현대사 교과서가 따로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스럽게 여겨졌던지 모른다. 그만큼 국사책엔 한껏 요약된 채 실려 있기만 한 시절이다. (왜냐면 쓸 말이 하도 많아서 지면을 다 할애해줄 수가 없었기 때문일 거라고 생각해본다.)

그 중 철도에 관한 부분은 사실 꽤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다. 각종 이권을 침탈해갔던 일제, 그러다 결국 한국을 먹어버린 1909년의 수치. 경의선, 경부선 등을 만들어 놓은 일제를 찬양하던 사회진화론의 등장도 기억한다. 이들이 아니었다면 조선은 어떻게 발전할 수 있었을까! 라며 궤변을 늘어놓던 그들. 물론 그 시대 속 사람들의 입장에선 생각해볼 만한 이론이기도 한다만은 그 또한 결국 어찌할 수 없는 현실에의 타협이 아니었던가. 철도는 그 당시 열강들에게 포기할 수 없는 노른자 같은 것이었다. 인력과 화물을 옮기기에 가장 적합한 그 시대의 최고의 교통수단이었으므로. 미국과 중국, 러시아는 일본 못지 않게 한국의 이권 침탈에 열을 올렸고 그 중 철도 부설권은 눈치 싸움의 끝판왕 격이었다. 결국 일제가 대부분을 먹어버리면서 막을 내렸지만 중요한 것은 정작 그 땅에 살고 있는 한국 국민들은 손끝 하나 내밀어 보지도 못했다는 사실이다.

‘자료 3’ 철도가 지나는 지역에는 온전한 땅이 없고, 기력이 남아 있는 사람이 없으며, 열 집에 아홉 집은 텅 비었고, 천리 길에 닭과 돼지가 멸종하였다. -대한매일신보, 1906년 5월 15일자-(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중앙교육진흥연구소, 111쪽)

문자 그대로 완벽한 ‘수탈’이었다. 땅도 빼앗기고, 노동력도 빼앗기고, 돈도 빼앗겼다. 그렇다고 우리 조상들이 가만히만 있었는가. 그건 또 아니다. 한 쪽은 의병으로, 한 쪽은 노동 쟁의를 일으키며 활약했다. 전남 무안에서 암태도 소작 쟁의가 1923년에 일어나기도 했고, 1929년엔 원산 노동자 총파업이 일어나 전국적, 세계적 지지를 받았다. 농민 운동은 1930년대부터는 사회주의 운동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양상을 띠기 시작했지만 일제에 의해 좌절되기 십상이었다.

‘철도원 삼대’는 이 땅에 처음 철도가 부설되던 시기부터 오늘날 부당하게 해고된 노동자들이 살아가는 시기까지를 다루는 대하소설이다. 영등포 일대에서 살아가던 이씨 집안의 사람들. 그들은 철저히 소시민이다. 농민이었고, 상인이었으며, 역사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휩쓸려 살아가던 국민이었다. 그들은 삼대째 그렇게 살아왔고 역사가 잊은 사각지대에서 투쟁하며 살아왔다. 아, 그 애환이여. 윗사람들과 열강들에 의해 나라가 찢기고 몰락해갈 때 그래도 그들은 잡초처럼 끈질기게 살아남았다.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역사가 미처 다 기록하지 못한 민초들의 건초더미 인생을 이토록 세밀하게 그려낼 수 있다니. 역사 공부는 이렇게 해야 한다. 한 줄로 요약된 채 수많은 죽음들이 순간의 지식으로 휘발될 공부가 아니라, 이다지도 생생하게 살아 숨쉬는 인생들로 머리와 가슴에 새겨야 한다.

“철도는 조선 사람들의 피와 눈물로 맹글어진 거다.”

“노동 투쟁은 원래가 이씨네 피에 들어 있다. 너 혼자 호강하며 밥 먹자는 게 아니구, 노동자 모두 사람답게 살아보자 그거 아니겠냐?”

아, 우리네 소시민들은 왜 이리 끈질기고 애가 끓고 처절하며 절박한 인생들인가. 황석영은 그 인생들을 그려내는 데 몹시도 탁월하다. 그는 마치 일제강점기 때부터 지금까지 소시민들의 옆에서 살아온 사람마냥 그들의 삶을 정교하고 적나라하게 그려낸다. 좋다. 좋은 소설이다. 한 사람이라도 많이, 특히 학생들이 많이 읽어 역사가 잊어버린 민초들의 삶을 계속해서 기억해나가길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