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우익 근대사 완전정복
이영채.한홍구 지음 / 창비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을 살아가는 모든 한국 시민들이 읽었으면 하는 책입니다. 긴 말이 필요 없습니다. 한일관계에 대해서 피상적인 편견만 갖고 있다면, 혹은 언론과 미디어가 보여주는 것이 전부라고 생각한다면, 혹은 관심도 없고 무지하기만 하다면 반드시 가까이 해야 할 책입니다.

아베 정권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면서 경제적 제재를 가한 이후 국내에선 일본에 대해 '사지 않습니다, 가지 않습니다' 를 위시한 'NO재팬' 슬로건이 빗발쳤지요. 갈등과 분란이 가득한 국내 정치에선 보수 아닌 보수와 진보로 싸움만 팽배합니다. 오랫동안 '청산되지 못한 친일파', '토착왜구'로 불리는 정재계의 인사들, 한일 근현대사의 이면에 대해 궁금점이 많았습니다. 학교 교과서에선 짧은 한 문장으로만 설명되거나 아예 언급조차 되지 않는 게 태반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관련 도서가 많은가 하면 그렇지도 않습니다. 지나치게 편향적인 서적들이 판치는 게 현실이었습니다. 지금도 10여 년 전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일본 하면 싫고, 한일전 축구 경기라도 열리면 무조건 이겨야 한다며 침을 튀기는 사람들이 대다수지 않습니까. 그러면서 일본발 문화인 만화, 성인물 등에는 좋다 하며 그저 받아들입니다. 일본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한류 한류 하며 한국 아이돌 가수에 열광하며 한국으로 관광오는 일본인들이 차고 넘치는데도 역사 문제에 있어선 반한, 더 넘어서 혐한주의를 갖고 있는 세대입니다. 어째서 이런 아이러니한 한일 관계가 이루어졌는지 정말 오랫동안 궁금했습니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제게 갈증을 풀어주는 단비 같은 책이었습니다.

이영채 교수와 한홍구 교수가 공동 집필한 이 책은 제가 가진 의문들에 대한 주된 답을 역사적으로, 현실적으로, 논리적으로 풀어낸 책입니다. 일본 정부의 혐한 정책은 어디에서부터 기인한 것인지, 한일 과거사의 숨겨진 이면은 무엇인지, 한국 우익과 일본 우익이 왜 이렇게 닮아 있는지, 그리고 현재 양국 관계를 어떻게 하면 풀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 세심하게 짚고 명확하게 설명과 대안을 제시합니다. 인상적으로 다가왔던 부분들에 대해 간략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일본 정부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우익은 '일본회의' 라는 극우 정치조직의 장기적인 계획에서 이루어진 세력입니다. 이들의 기치는 일본의 보통 국가로의 회귀, 자국 중심적인 동아시아 주도권 유지, 정전 이후 점철된 역사수정주의입니다. 이로 인해 한일 간 해결되어야 할 많은 과거사 문제가 표류하고 왜곡되었습니다. 국내의 보수라고 표방하는 우익 세력은 일제강점기 이후 청산되지 못한 친일파의 잔재입니다. 반미, 반공을 외치며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성격은 무시 못할 정도로 똑 닮아 있습니다. 해방 이후 분단, 분단 이후 근현대사를 살아내던 한국 정치의 참으로 뼈아픈 어둠입니다. 약자를 보듬지 못하고 무시하며 강자 앞에선 굴종하며 따라가려는 성향은 사회진화론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안타깝게도 현재의 대한민국 역시 이로부터 자유롭지 못합니다. 무한경쟁 체제의 교육, 거기서부터 기인한 사회적 분위기는 일제 군국주의를 그토록 미워하던 우리가 반성해야 할 현실입니다. 조선학교, 재일조선인에 대한 지식과 이해도 형편없이 무지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앞으로의 미래, 다가올 한반도 통일의 시대에서 국제 관계에 대한 이해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가져야 할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이웃 나라 일본에 대한 이해, 그들과의 시민 연대를 놓지 말아야 할 이유는 과거의 아픔을 위함이기도 하며 현재의 우리를 위함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다음 세대를 위함이기도 합니다.

한일 근대사에는 장단이 있습니다. 빛이 있으면 어둠도 있습니다. 반대로 말해볼까요? 어둠이 있으면 빛도 있는 법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너무도 한 쪽에만 편향된 교육을 받아왔습니다. 혹은 극단적인 빛, 극단적인 어둠에만 치중해 색안경을 써왔습니다. 어떤 교육도, 어떤 언론도, 어떤 정부도 한일 양국관계에 대한 균형잡힌 이해를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대두되는 사회 문제에 그저 우 하며 몰려가고 갖고 있는 편협한 배경지식에 힘입어 소리만 높여 왔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 '야스쿠니 참배' 라는 주제에 대해 깊이 없는 비난만 해대고 있진 않았는가 반성해야 합니다. 좌우를 가르고 흑백 논리에만 절여져 있는 한국 사회를살아가는 시민으로서 통렬히 반성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 모두는 역사를 잊으면 안 되는 이유를 왜 자꾸만 잊고 사는 것일까요. 조금만 시간을 내고 조금만 더 노력하면 얼마든지 생각할 수 있고 돌아볼 수 있는데 말입니다.

이 책의 구절구절이 아이들의 교과서에 실리는 날이 언젠간 올까요. 알아야 할 것을 알아야 하는데 그저 한 줄 지식으로만 암기되고 휘발되는 오늘날의 교육 현장이 다시금 씁쓸하게 여겨집니다. 좋은 책을 소개해주신 창비 출판사와, 좋은 책을 집필해주신 저자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아무쪼록 많은 이들이 읽고 많은 곳에서 곱씹어질 수 있는 책이 되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