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극 2041
로버트 스원.길 리빌 지음, 안진환 옮김, W재단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11월
평점 :
ANTARCTICA 2041
마지막 대륙, 남극을 살리자
<남극 2041>프로젝트!!
로보트 스원.길 리빌 지음 / 안진환 옮김
한국경제신문
인류 최초로 남.북극점에 도달한 로버트 스원
그가 전하는 자연의 위대함과 인간의 경외감이
녹아있는 매혹적인 극지 탐험기!!
남극대륙의 얼음은 우리의 과거와 미래를 보여주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미 남극대륙에서 상당량의 얼음덩어리가 없어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해수면이 오늘날보다 수 미터는 더 높았던, 이전 온난화 기후 시대에 그랬던 것처럼
빙붕들에 큰 변화가 생길 것임을 예고하는 셈이다.
<남극대륙>
남극은 지구상에서 가장 인간에게 적대적인 환경 중 하나이기 때문에
청정에너지 기술에 대한 완벽한 입증의 장이 될 수 있다.
우리가 남극에서 재생에너지에만 의존해서 생존할 수 있다면 샌프란시스코나
방갈로르 또는 상하이에서 그것만으로 번성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이 탐험은 이미 10년 전에 기획된 것이다. 중요한 순간과 연결은 종종 우연히
발생하고 이뤄지는 법이다. 누구든 성공하려면 그런 기회를 잡을 줄 알아야 한다.
2041년은 남극에 대한 보호 규정이 바뀔 수도 있는 해다.
지금은 그곳이 누구의 소유물도 아니다. 우리 모두가 남극대륙의 주인이라는 뜻이다.
왜 2041년 인가?
2041년이 되면 세계 각국은 잠재적으로 그 대륙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조항을
고치려 들지도 모른다. 바로 그것을 막고자 하는 것,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지구상의 단 한 곳만이라도 자연보호 구역이자 과학과 평화의 땅으로 남겨둬야
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만드는 것이 2041 조직의 목표이다.
오늘날 화석연료를 태우고 탄소를 배출하는 산업화 문명이 마치 촛불의
양쪽을 태우듯 지구의 양 극단을 태우고 있다.
2041년은 남극을 보호하는 국제 협약이 재검토 및 조정 국면에 들어가는 시기다.
지구상의 마지막 대자연의 운명이 결정되는 시점, 2041년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바로 그런 맥락에서다.
만약 우리가 지금 당장 우리의 방식을 바꾸지 않는다면 우리의 삶과 보다 중요하게는
우리 아이들의 삶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에 직면할 것이다.
2041년에 대한 예측 모두에 '현재의 추세가 계속된다면'이라는 전제가 붙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유류 소비의 한계점과 종의 감소, 해수면 상승, 지구온난화 등 이 모든 것이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
오늘날 우리는 원유를 얻기 위해 갈수록 더 멀리 나가고 더 깊이 들어가야만 한다.
그래서 이제 대양의 바닥과 얼어붙은 북극에 눈을 돌리고 있다. 원유에 대한 갈증으로
인해 만약 우리가 오염되지 않은 남극에까지 손을 댄다면 그것은 말로 형용할 수 없는
비극이 될 것이다.
나는 인물예술 분야, 그중에서도 고대사 연구라는 그리 대단하지 않은
학사학위를 따고 더럼 대학을 졸업했다.
<남극의 스콧>은 내 생애 최초로 상상의 기준을 형성해줬다.
역사는 명문가에 의해 기록된다. 나는 극지방 탐험에 관한 내가 찾을 수
있는 모든 기록을 읽었다. 회고록, 탐험일지 할 것 없이 모조리 말이다.
단언컨대 스콧의 탐험일지는 독보적이다.
<남극의 스콧>은 영국 영화계 최초로 총천연색으로 제작되어 배포된 영화 중 하나였다.
'내가 할 일이 바로 이거이다. 얼마나 걸리든 상관없다.'
나는 스콧의 발자취를 따라 남극으로 갈 것이다.
어디선가 대답이라도 하듯 '어리석은 생각이야'라는 목소리가 들려왔다.
나는 보이지 않는 그 목소리를 무시해버렸다.
세르반테스는 이렇게 말한 바 있다.
"어리석은 행동이야말로 인생을 가치 있게 만드는 것들 중 하나다."
나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학교를 졸업했다.
말로만 떠드는 시간은 이미 충분했다. 이제는 순백의 설원을 걸어야 할 때였다.
스원이 첫 번째 남극 탐험대를 조직한 이유는 그 자신을 시험하고 그의 세 영웅 로버트 스콧과
어니스트 섀클턴, 로알드 아문센을 기리기 위해서였다. 첫 탐험대에 붙인 이름도 '스콧의 발자취를 좇아'였다.
스콧은 16명의 대원과 조랑말 10마리, 두 팀으로 구성된 썰매견들과 모터가 장착된 썰매 두 대,
그렇게 꾸려진 탐험대를 이끌고 1911년 11월 1일 극점을 향한 여정을 시작했다.
스원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엔 죽음의 행군이 되어버린 여정을 그대로
좇아가는 것이 과연 옳은 선택일까? 스원 일행은 혹독한 추위와 싸우며 곳곳이 갈라지고 크고 작은
굴곡이 심해 위험천만한 빙판 길을 걸어갔다. 무전기도 없는 무지원 행군, 구조될 희망 따윈 없었고
남극점에 다다를 때까지 그저 무작정 앞으로 전진해야만 했다.
1985년 로버트 스원은 남극점을 향한 행군을 감행하던 당시만 해도 풍전등화의 남극 환경문제는
그에게 가장 중요한 무엇이 아니었다. 그러나 남극에서 귀국 하자마자 지구의 위기 상황이 곧
자신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본인의 푸른 눈동자가 창백한 회색으로 변한 것이 바로 남극 하늘의 오존층에 구멍이 뚫려
여과되지 않은 태양 광선에 그대로 노출된 탓이었기 때문이다.
스원은 이 책에서 온실가스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해수면의 상승, 수많은 생물이 직면한
멸종위기 등과 관련해 심각한 경고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며, 이 책을 통해 전 세계적인
위기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남극을 구하는 일, 그것은 바로 우리 스스로를 구하는 길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