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 넘어지는 연습 - 툭툭 털고 일어나 다시 걸을 수 있도록
조준호 지음 / 생각정원 / 2017년 11월
평점 :
세상의 수많은 잣대들 속에서 나를 지키기 위한
인생 낙법이 필요한 시간,
툭툭 털고 일어나 다시 걸을 수 있도록
잘 넘어지는 연습
조준호 지음
생각정원
잘 넘어지는 연습, 유도나 사이클 선수뿐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연습이 아닐까.
절대 넘어지지 않고 탄탄대로를 걸을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으니까.
예측하지 못한 장애물에 걸을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으니까.
예측하지 못한 장애물에 걸려 넘어지든 정신없이 뛰다가 제 발에
걸려 넘어지든 살면서 누구나 한 번쯤은 넘어질 수밖에 없다.
어차피 넘어질 수밖에 없다면
안 넘어지려고 기를 쓰기보다 넘어져도 다치지
않는 방법을 익히는 게 좀 더 유용할 것이다.
어차피 넘어질 수 밖에 없다면,
잘 넘어질 것!
아프지 않게, 다치지 않게,
그래서 다시 일어설 수 있게!
'잘 넘어지는 연습' 이 책의 저자는 2012년 런던올림픽
남자 유도 동메달리스트 조준호 선수의 첫 번째 에세이 집이다.
우리 삶에서도 유도의 기본 기술인 낙법과 같이
'인생의 낙법'이 필요하다고 독자에게 전하는 책이다.
인생을 살다 보면 안 넘어질 수는 없는 법, 조준호 선수는 넘어지고
다칠 수밖에 없는 삶이라면 넘어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기보다
다치지 않고 잘 넘어지는 연습을 통해 여유를 갖고 서서히 일어나기를 권하고 있다.
메달리스트 유도인으로 살아가면서 결코 탄탄대로만 걷지 않았음을
세상의 수많은 잣대들 속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한 인생 낙법이 필요한 시간을 알려준다.
꿈은 끊임없이 이어지는 삶이라는 문장 속의 '쉼표'인데 우리는 꿈을 '마침표'로 착각하곤 한다.
그래서 꿈을 이루는 순간, 잠깐 쉬어가는 게 아니라 모든 것을 내려놓는 실수를 범한다.
우리가 나태해서 그런 실수를 저지르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쉼표를 사치로 여겨왔기
대문에 그런 실수를 저지르는 것이다.
금메달을 딴 후 많은 선수들이 행복에 도취되기는커녕 오히려 방황을 경험하고 허무함과
공허함에 일상으로 복귀를 힘들어한다.
모든 욕구와 욕망을 '꿈을 이룬 다음'으로 미뤄두고 억누르다가 정작 꿈을 이루면
그 욕구와 욕망이 잘못된 형태로 분출되는 것이다.
유예시킨 행복은 통조림 속의 참치와 달리 쉽게 부패하는 것만 같다.
스물다섯 살에 얻은 올림픽 동메달은 내 힘으로 올라갈 수 있는 최고의 자리였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이었고, 내가 갈 수 있는 한계였다.
만약 내가 그때 한계를 보지 못하고 지금까지 유도를 하고 있었다면 정말
재미없었을 것이다. 선수라서 방송의 기회도 거의 없었을 거고,
도장을 운영하면서 어린 친구들을 만나는 일도 없었을 테니 교육에 대해 생각할 기회도
얻지 못했을 거고, 인문학도 접하지 못해 그저 그런 꼰대가 되어갔겠지.
내가 유도장을 차리고 여러 고민과 배움 끝에
'모두가 즐겁고 행복한 유도를 지향하게 된 데는 과거의 경험도 한몫을 했다.
유도 자체가 즐겁고 행복해야만 유도를 잘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몸소 깨달았던 나는 아이들에게 경쟁이 아니라
함께하는 의미의 스포츠, 승패가 갈리는 경쟁이 아니라 다 함께 즐거운 유도를 가르쳐주고 싶었다.
거창하게 표현하자면 선수를 기르기 위한 도장이 아니라 인간을 키워내기 위한 도장을 꾸리고 싶었다.
누가 말했듯이 유도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은 먹기는 기술이 아니라 넘어지는 방법이다.
그러니 넘어지는 방법을 제대로 배운 아이도 칭찬받아 마땅하다.
그렇게 유도를 배운 아이들은 '누군가는 지고 누군가는 이기는 게임이라면 내가 이겨야겠다'.는
경쟁심이 아니라 '공평한 룰 안에서 각자의 역할을 하며 함께 어우러지는'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요즘은 마음의 낙법을 자주 친다. 평생 단 한번 도 넘어지지 않고 살 수 없듯이
마음에 상처가 되는 말을 단 한마디도 듣지 않고 살 수 없듯이 마음에 상처가 되는
말을 단 한마디도 듣지 않고 살아갈 수는 없다.
예능 출연으로 나에 대해 뜬구름 같은 소문이 돌았다.
나를 잘 모르는 사람이 잘 모르고 하는 소리들이 들려왔다.
제멋대로 판단하고 헐뜯는 이야기들에 억울한 마음이 들었지만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따질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그때마다 내가 사용한 마음의 낙법은 이렇다.
'됐어. 쟤도 모르고 하는 소리잖아. 그냥 무시해.'
우리는 살면서 필연적으로 그런 하루를 맞이하게 된다.
내 의도대로 일이 되지 않고, 열심히 해도 자꾸 상황에 가로막히고....
그렇게 내 열심이 수포로 돌아가 허무함을 맛보는 날,
완성된 하루를 위해 그의 수십 배쯤 되는 미완성의 시간을 보내야 하는 운명 앞에서
나는 일찌감치 '안정'이라는 단어를 지워버렸는지도 모르겠다.
운동선수에게 '안정'은 곧 '안주'를 뜻했고, '안주는' 곧 '패배'를 의미했다.
열심은 우리를 성장시키지만 욕심은 공든 탑을 무너지게 한다.
열심은 우리를 움직이게 하지만 욕심은 멈춰야 할 때를 모르게 눈을 가린다.
열심은 달지만 욕심은 쓰다.
그러니 열심은 달달할 때까지만 씹다가 쓴맛이 나면 뱉어버려야 한다.
우리의 삶도 하나의 목표만을 향해 달려간다, 그 목표가 나의 경쟁자들과
같은 곳이라면 그 목표를 성취하기란 더 어렵고, 만약 성취를 못하게 되어
실패를 한다면 낙담과 좌절의 상처는 엄청나게 클 것이다.
우리 시대 청년들이 이와 같은 삶을 살아가고 있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취업문을 통과하기 위해 오늘도 잠을 줄여가며
취업공부를 하고 있다. 그들은 끊임없이 넘어지고 또 일어서 달리다 다시 또 넘어진다.
우리는 오뚝이가 되어야 한다, 넘어지더라도 다치지 않도록 잘 넘어지고
툴툴 털고 다시 나의 목표를 향해 달려가야 한다.
중간에 포기하는 이들도 있겠지만 자신의 꿈을 성취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의 인생이 실패한 인생이 아니라 넘어질 것이 두려워
넘어질 시도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바로 실패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