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과의 공존 - 내 안의 우주
김혜성 지음 / 파라사이언스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안의 우주, 미생물과의 공존

김혜성 지음 / 파라사이언스 

 

 

우리 몸속에는 우리를 이루는 세포의 수보다 10배나 더 많은 미생물이 살고,

우리 유전자보다 1,000배가 넘는 미생물 유전자가 있다.

내 몸속에 사는 미생물을 공부하는 것은 미생물까지 포함한 보다 포괄적인 '나'를 느끼게 하고,

보다 긴 생명이 흐름에서 내 몸과 건강을 생각하게 한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내 몸에 존재하는 미생물, 그 미생물과 나는 공존하며 살아가고 있다.

 

 

 

 

 

내 안의 우주 <미생물과의 공존> 이 책은 치과의사인 저자의 호기심으로 시작된 미생물에 대한 공부를

시작으로 우리 몸에 존재하는 미생물, 함께 공존하는 미생물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수많은 미생물들이 내 몸에 존재한다. 

인간뿐만 아니라, 동. 식물과도 공존하고 있으며, 보통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생각하는 미생물이

내 몸에 공존함으로써 이로움에 대해 알려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 몸속 미생물과 더불어 건강하게 살아가려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명쾌한 답으로

일반적인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게 해준다. 

저자와 함께 미생물 세상의 탐험가로 책 내용을 본다면 좀 더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흥미롭게 다가올 것 간다. 



 

 

 

미생물과의 공존 이 책에서는 Part 4로 나누어 미생물을 탐구하고 연구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1장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 2장 미생물이 사는 모습, 3장 우리 몸과 미생물의 전쟁과 평화, 4장 미생물과의 공존을 위하여

미생물에 대한 깊은 정보와 탐구내용으로 미생물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꿔주도록 한다. 



 

 

이 책은 본 내용에 들어가기 전에 <서장-우리 몸속 미생물, 어떻게 접근할까>를 통해 미생물 입장에서

우리 몸을 보는 새로운 시선을 제공해주고 있다. 

미생물이 바라보는 인간의 몸이라는 것이 좀 웃기기는 하지만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으로 내용을 보게 된다.

우리 몸에 터전 삼아 살고 있는 무수히 많은 미생물을 관찰하고 정체를 밝혀온 역사와 방법에 대해서도 소개해준다. 

 

왜 우리 몸에서 특별히 코에서 폐에 이르는 호흡기와 입에서 장에 이르는 소화기에 자주 염증이 생기는 걸까?

우리 몸의 내부는 바깥 세계로 노출된다. 미생물은 바깥 세계와 직접 만나는 피부에 붙어, 혹시 피부가 벗겨지면

그 속을 파고 들려고 호시탐탐 기회를 엿본다. 

미생물은 공기를 통해서 콧속으로 들어가고, 입속은 우리가 먹는 음식이나 물, 호흡에 의해서 늘 미생물에 노출된다.

바깥 세계의 위험에 노출된 부분이 이렇게 많고 미생물이 호시탐탐 우리 몸 내부로 침투할 기회를 노리고 있으며, 

우리 몸은 이런 미생물의 침투를 막기 위해 스스로 방어 시스템을 구축한다.

 

 




미생물은 말 그대로 '아주 작은 생물체'라는 뜻으로 인간의 눈으로 관찰되지 않은 모든 생물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는 원생생물, 곰팡이(진균), 세균, 고세균, 심지어 바이러스까지 포괄한다.

이 책에서는 주로 미생물 중에서 '세균'을 다루며, 세균은 전체 생명의 영역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 몸의 건강과 관련해도 가장 많이 밝혀진 영역이다.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은 우리 몸 세포보다 더 많으며, 유전자 단위로 보아도 인체 유전자는 20,000~25,000개 정도인데,

인체에 사는 미생물의 유전자는 이것보다 1,000배나 더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 많고 종류도 다양한 미생물은 빠르게 변한다. 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장균은 20분마다 분열하는데 이는 20분마다 세대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때 DNA 복제가 일어나고, 이론적으로 보면 그때마다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있다. 

 

세균들은 끊임없이 유전자를 교환하기도 하며, 항생제라는 치명적인 환경에서 살아남은 세균들은

그렇게 생존하는 동안 획득하고 보존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이웃 세균들에게 나누어준다. 

 



 

 

미생물이 처음 인간의 시야에 포착된 것은 1670년대였으며, 네덜란드 상인 레이우엔훅이

자신이 만든 현미경으로 많은 사물들을 관찰하면서 미생물의 존재가 드러나게 되었다.

 

미생물의 황금시대는 미생물학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파스퇴르와 코흐가 와인의 발효가

그냥 공기 중에 있는 어떤 것이 아니라 포도 표면에 살고 있는 효모에 의한 것이고, 

콜레라나 탄저병 같은 질병이 공기 중의 나쁜 기운이 아닌 세균 때문임을 밝힌 것이다. 

이때가 레이우엔훅에 의해 처음 포착된 '극미동물'이 우리 음식이나 질병과 연결되는 미생물로 전환되는 순간이었다. 

 

1670년대 레이우엔훅의 현미경에 미생물이 처음 포착되고 1880년대에 코흐와 파스퇴르에 의해

미생물과 인간의 질병이 연결된 이래 최대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인간 미생물 프로젝트는 미생물이 인간의 몸 어디에서나 늘 살고 있고, 

나아가 우리 몸의 건강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며 우리 몸과 함께 진화하고 있다는 발상의 전환을 제공한 셈이다.

 



 

우리 몸에 사는 대표적인 세균 (5문) : 후벽균, 의간균, 방선균, 프로테오박테리아, 푸소박테리아



 

 

우리몸에 사는 대표적인 세균(5문 20속)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 전체에 대한 스케치와 대표적인 세균들을 보면서 정말 놀랐다.

이렇게나 많은 미생물이 내 몸에 존재하고 있다니 정말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몸속 구석구석 안 닿는 곳이 없을 정도라니... 

아직 책을 본격적으로 본 건 아니지만, 서장의 내용만 보고도 믿고 싶지는 않지만

미생물의 존재, 나와 공존하는 미생물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었다.

서장의 내용만으로도 <미생물과의 공존> 내용이 흥미진진하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