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빛을 그린 사임당
고영리 지음, 허이삭 그림 / 꿈꾸는별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사임당이 들려주는 '어린 인선'의 이야기 꿈의 빛을 그린 사임당


신사임당이 누구냐고 아이들에게 물어보면, 율곡 이이의 엄마라는 말보다 5만원 지폐에 그려진 인물이라는 이야기를 먼저합니다.

이런 우리아이들에게 신사임당이 누구인지 제대로 알려주기 위해 '꿈의 빛을 그린 사임당' 책을 읽게 해주었습니다. 


 

 


신사임당은 멋진 엄마, 훌륭한 아내이기 전에 자연을 사랑했고 사랑한 만큼 깊게 들여다 볼 줄 아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어떤 것을 사랑하는지 그리고 무엇을 해야 할지 알았던 현명한 소녀였고 여자였습니다. 


조선시대에 여성들에게는 교육을 시키지 않았던 때에 신사임당은 자연에서 많은 이치를 깨달았고 그림을 잘 그렸던 자신의
재주를 끊임없이 갈고 닦으며 외할아버지로부터 학문을 배워 탐구하며 부모님에게 영향을 받아 효성이 지극함을 본받아
자신이 앞으로 해야할 일이 무엇이며 자신의 꿈을 빛나게 한 사람입니다.


널리 배우고 연구하지만 연구한 것을
곧 남에게 가르치지는 마라.
더욱 깊이 연구하여 마음속에 간직해 두어야 한다. -소학-


이 책은 각 장마다 소개하는 소학, 중용, 논어, 한비자의 인용문이 적혀있어요.

이는 신사임당이 일곱 명의 자녀들에게 교육했던 내용의 일부들로 꿈을 키워온 신사임당의

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임당의 어린 시절 이름은 인선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임당이라는 이름은 본명이 아니라

사임당이 나중에 지은 호입니다. 


'꿈의 빛을 그린 사임당' 이 책은 사임당이 어린시절 자라온 환경과

어떠한 교육을 받으며 자라왔는지 이야기로 볼 수 있습니다. 


 


어느날 강아지를 데려온 율곡이이는 강아지를 키우고 싶어하지만, 사임당은 허락하지 않았어요.


사임당은 어린 율곡 이이에게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책임감과 

학문을 공부하며 삶 속에서 실천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쳤어요.




사임당 역시 어린시절 토끼를 기르고 싶어 집으로 데리고 왔지만 할아버지가 허락을 하지 않으셨어요.

그 일로 속상해서 울다 잠든 사임당은 할아버지와 엄마의 대화를 듣고 그제야 왜 할아버지가

완고하게 반대를 했는지 알게 되었어요. 


세상 모든 것에는 '절대'라는게 없다는 할아버지의 가르침, 

나의 도움이 독이 될 수도 있었던 상황을 이해하며 이 교훈을 마음에 담으라고 했어요.




 


"아무리 사소학 작은 일이라도 '그깟 일'이라고 생각하면 절대 안돼.

작은 일도 무시하지 않고 최선을 다 하게 되면 그일을 정성스레 하게 되고

정성스레 하게 되면 남을 감동시키고 감동시키면 변화할 수 있다는 내용은 중용에 나오는 말입니다.

이렇듯 소학에 나오는 의미있고 깊이있는 말들을 아이들이 깨우치게 늘 가르침을 주었어요.



사물을 그리기 좋아했던 사임당은 특히 꽃과 벌레, 각종 열매를 즐겨 그렸어요.

처음에는 그냥 보이는 것을 그렸지만 그리다 보니 하나하나에 기막힌 매력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어요. 


잔칫날 소개받은 청년에게 잘 보이고 싶어 한복을 빌려입은 순심이의 한복에 간장이 묻었어요.

사임당은 순임이에게 치마를 벗어달라고 하여 치마를 펼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점점이 흩뿌려진 간장 방울은 어느새 먹음직스러운 포도송이가 되었고, 큰 얼룩은

오랜시간을 견뎌 온 두툼한 나무 등걸로 조금씩 변해갔어요.

사람들은 사임당의 그림을 칭찬했고 서로 자신의 한복에 그림을 그려달라고 했지만,

사임당은 정중하게 거절했어요. 

사임당의 그림 솜씨는 이웃뿐 아니라 옆 마을까지도 자자하게 소문이 났지요.




'부모가 나를 완전하게 낳아 주셨다. 자식 된 나도 그 몸을 완전하게 보전하여 부모에게

되돌려 주어야 한다. 이것을 효도라고 하는 것이다.'


'위험하고 높은 곳에 오르지 마라. 또 깊은 늪이나 산골에 가지마라.

몸을 다쳐 부모가 걱정할까 해서다.'


자식이 할 수 있는 효도의 가장 기본은 자기 몸을 위험하게 하지 않고 상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소학에 나오는 말로 사임당은 자식들에게 늘 효에 대해서 강조했어요.



자신의 재주를 나눌 줄 알고.
생명의 소중함을 지킬 줄 알고.
부모님과 어른을 공경할 줄 알고.
잘못했을 때는 인정을.
칭찬받았을 때는 감사를.
그리고 후회되는 일을 했을 때는
금방 인정하고 고칠 줄 아는 사람.

숨기거나 피하거나 화를 내거나 부끄러워하는 것이 아니라,
그 모든 것을 받아 들여 보다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애썼던 사임당.
누구의 엄마나 아내보다 스스로 바른 사람이 되기 위해 어린 시절부터 애썼던 신사임당의
교육철학을 보며 아이들이 바르게 자라길 바라기 이전에 나의 마음부터 바로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해주며, 나를 다져보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