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 바둑 이야기 - 돌 하나에 웃었다 울었다 이야기 역사왕 7
설흔 지음, 최미란 그림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 하나에 웃었다 울었다 역사속 바둑이야기



지난 3월 세상의 모든 사람들을 이목이 집중되었던 세기의 대결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대결은 큰 화제를 낳았습니다.

바둑은 아주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있던 놀이로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로 바둑에 대한 관심은 더 많아졌습니다.


'돌 하나에 웃었다 울었다 역사 속 바둑이야기' 이 책에서는 우리 조상들의 바둑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으며,

바둑의 역사와 더블어 옛날 사람들이 바둑두는 모습도 함께 관찰하며 볼 수 있는 책입니다.



바둑의 기원은 누구에 의해서 언제 만들어졌는지 확실하게 전해지는 문헌이 없어 알길이 없지만 수천년부터 많은 사람들이

해오돈 놀이임은 틀림없어요.

바둑은 임금님부터 동네 아이들까지 온 나라 사람들이 즐겨 하던 놀이였어요.

신라, 고구려, 백제, 고려, 조선 할 것 없이 바둑에 대한 사랑은 대단했으며, 바둑은 나라와 가족과 사람의 운명을 바꿔 놓기도 했어요.

이 책에는 바둑사랑이 대단한 우리 조상들의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바둑과 관련된 4가지 이야기가 나와요.

'바둑 때문에 망한임금 : 백제 개로왕과 고구려의 첩자 도림이야기', '바둑 덕분에 왕자님과 친해진 신하 : 통일신라 효성왕과 신하 신충의 이야기', '바둑으로 아내를 잃을 뻔한 상인 : 고려 벽란도 상인과 송나라 상인 하두강의 이야기', '조선 제일 바둑의 고수는 누구? : 조선의

바둑 고수 정운창과 김종귀의 이야기' 이렇게 각 시대별 바둑과 관련된 인물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바둑을 통해 일어났던 일들을 보여주고 있어요.

시대적 배경이나 나라별 관계, 역사적인 이야기 바둑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등을 이야기를 통해 전해주고 있으며,

각각 시대에 바둑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려주고 있어요.

 


백제의 바둑 고수는 개로왕이였습니다. 고구려의 바둑 고수는 도림이라는 스님이였고 두 고수가 맞붙었어요.

결국 개로왕은 바둑 때문에 목숨을 잃었고 백제의 힘이 크게 약해졌어요.



 

조선 제일의 바둑 고수는 정운창이예요. 정운창은 바둑 잘 두기로 소문난 사람들을 찾아다니며 바둑을 두었는데,

바둑 대결을 맞붙는 족족 이겼다고 해요.


또 내기바둑때문에 아내를 잃을 뻔한 고구 상인의 이야기 까지 계급과 하는일에 상관없이 바둑에 대한 열정이

장난이 아니였다는 것을 이야기들을 통해 알 수 있어요.


이 책에서는 이런 재미있는 스토리를 전해주기도 하지만 그와 관련된 바둑판 안에 담긴 우리역사를 알려주고 있어요.




백제 개로왕과 고구려 첩자 도림이야기에서는 백제와 고겨루의 관계가 좋지 않았음을 알 수 있어요.

백제의 근초고왕과 고구려의 고국원왕까지 올라가 그 내용을 전하고 있으며 또 삼국 시대에도 숨 막히는 첩보 전쟁이 있었으며

그 첩보원이 스님이였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어요.

송나라 상인과 내기 바둑을 둔 고려 상인 이야기는 벽란도라는 국제항에 대해 알려주며, 벽란도가 그시대 얼마나 큰 국제항이었는지

송나라는 물론 아라비아 상인들까지 어떤 물건들을 사고 팔기 위해 벽란도를 드나들었는지 들려줍니다.


이런 내용들을 토대로 비록 바둑에 대한 내용으로 시작되지만 각 시대적 배경과 역사 지식을 자세하게 알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책의 내용을 보고 각 코너들을 살펴보다보면 역사에 대한 흥미가 느껴지고, 역사의 흐름을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역사 논술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또렷해 질 것입니다.


지금은 바둑판, 검은돌, 흰돌이렇게 바둑세트가 구성되어 있지만 아주 오랜옛날에는 평평한 바위가 바둑판이였고,

강가나 길가에서 주운 동글동글한 하얀돌, 검정돌이 바둑돌이였을 것이입니다.

단순한 도구이지만 바둑은 두뇌개발, 지능개발에 뛰어난 놀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습니다.

세기의 대결로 또한번 바둑의 인기가 되살아났지만, 스마트기기로 난폭한 게임을 자주하는 우리아이들에게 검정돌과 흰돌로도

스마트게임 못지 않은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