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 하 - 조선의 왕 이야기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박문국 지음 / 소라주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下  <조선의 왕 이야기>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下  <조선의 왕 이야기>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조선의 왕 이야기' 上 권에서는 태조부터 선조까지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下 권에서는 광해군부터 대한제국의 순종까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시대별로 왕권을 잡았던 왕들의 이야기를 보다보면 그시대의 역사흐름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역사에 크게 업적을 남긴 존경받는 왕이 있다면, 반대로 백성을 제대로 돌보지 않았던 나쁜왕이 있다.

그들의 이야기를 보며 그시대의 역사적 사건과 그들의 주변이야기를 살펴볼 수있다.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下권에서 만난 첫번째 왕은 광해군이다. 광해군은 재능은 있었지만 선조에게 인정을 받지 못했다.

광해군은 15대 왕으로서 임진왜란이후 국토를 회복하는데 힘을 썼으며 백성들의 삶을 복구하는데 힘을 다했다.

당시 조정의 신하의 의해 실시하였던 대동법은 백성들의 삶을 조끔씩 나아지게 했지만 백성들의 삶아 나아지는 시기에

무리하게 궁궐을 보수하면서 그는 민심을 읽고 결국 실패한 왕으로 전락되었다.


현종의 유일한 아들로 조선 역사상 누구보다 강력한 정통성을 가지고 있고, 성격도 불같았던 19대왕 숙종 이순.

그는 정치에 있어서는 시종일관 냉정함을 유지하는 왕이었다. 현종의 외아들로 정실부인의 자식이었기에 딱히 권력을

휘두르는 외척이 없어 왕위를 협박받았을 확률이 적은 왕이었다.

현종은 갑인예송 당시 서인들을 배척하는 자세를 취했으나 서인을 완전히 몰아낸 것은 아니며, 강력한 위세를 떨치던

송시열을 유배 보내고 사약까지 내리며, 세차례 환국을 일으킨 후 인현황후를 폐비시켰다가 다시 복위시켰다.

장씨를 희빈에서 중전으로 앉혔다가 다시 희빈으로 강등 시킨후 자결을 하게 하였고 그가 왕위에 있을 당시 했던

사건들을 보면 그가 얼마나 냉혈하고 다혈질적인 왕이였음을 알 수있다.


할아버지 영조가  사도세자를 뒤주에 넣어 죽게한 하여 아버지의 죽음을 억울하게 지켜보았던 22대 정조이산.

정조는 임금의 힘을 강화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렸했으며, 이런 영조를 신하들은 임근이 언로를 막고 자신들을 굴복시키려 한다며

비판했다. 그럼에도 정조는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는 정책을 유지했으며, 세손시절부터 깐깐한 영조에게 인정받을 정도로 학식이

뛰어났으며 신하들을 구박할 정도로 학식이 갖췄고 또 그가 독서광이였다는 역사적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

아버지의 죽음을 보며 누구보다 영조에게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던 정조는 즉위하던 날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고

말해서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고 간 노론을 공포에 떨게했으며, 아바저에 대한 추승 의지를 드러내 재위 17년 차에 이르러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를 이장하고 수원화성을 축성하기 시작했다. 


사극드라마와 영화로 웬만한 왕들에 대한 내용은 다 나와 책보다 이런 매체를 통해 왕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던 우리에게

이책은 드라마와 사극에서는 극화하기 위해 각색한 내용을 담고 있음을 알려준다. 우리아이들에게 역대 왕들의 진실된

역사의 흔적을 제대로 전달해주기 위해선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책을 보여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건과 인물로 역사를 이야기하는 내용을 접하다 왕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긴 이책을 보니, 각각의 왕의 성격과 그들의

정치색을 비교하며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초등5학년인 아들이 보기에는 아직 어렵다는 생각이 들지만, 아마도

곧 이책을 보면서 왕들의 흔적을 하나씩 기억하고 되새기며 올바른 역사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