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 착륙한 돼지 - 지구와 달 내인생의책 돼지학교 과학 7
백명식 글.그림, 곽영직 감수 / 내인생의책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보다 쉽고 재미있게 과학을 접할 수 있는 <돼지학교 과학시리즈> 7번째 이야기 '달에 착륙한 돼지'
돼지 삼총사의 재미난 이야기를 통해 과학적 지식을 배우고 호기심을 키울 수있어요.

돼지학교 과학 시리즈는 초등 과학의 4가지 영역인 생명, 지구와 우주, 물질, 운동과 에너지 분야를 모두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어요. 꼭 알아야 할 초등 과학 지식을 주제별로 한 권에 하나씩 담아 초등 과학 과정 전체를 선행 학습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돼지학교 과학시리즈 7번째 이야기 [달에 착륙한 돼지-지구와 달]

 


돼지 삼총사와 함께 떠나는 신나는 과학 여행, 그속에서 여러가지 미션을
수행하며 자연스럽게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키울 수있어요.


 

 

책 표지를 넘기면 귀여운 돼지 삼형제가 인사를 합니다.
"돼지 학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돼지학교 친구들은 한가위 대보름 달을 보며 신나게 노래를 부르며 달맞이를 가고 있어요.
돼지학교 친구들은 저마다 둥근 달을 보며 소원을 빌었어요. 또 서로 어떤 소원을 빌었는지 이야기를 나누었지요.

 

 

이책은 책 이야기 옆에 메모지를 달아 <꿀꾸 더 알아보기> 코너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알려줍니다.

달은 29.5일 주기로 모양이 바뀝니다. 달의 변화되는 모습을 그림으로 재미있게 설명해 주고 있어요.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이치, 달의 모양이 바뀌는 이유, 월식과 일식, 위성에 대해서도 배우며 관찰일기에 기록합니다.


 

 

드디어 돼지학교 친구들은 다 같이 로켓보다 빠른 연필호를 타고 여행을 떠납니다.
이번 여행의 목적지는 달이예요. 척척박사 피그박사니과 방글방글 방글이 선생님과 함께
즐거운 달 탐험을 떠나는 돼지학교 친구들은 궁금한것도 많습니다.

박사님께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물어보네요.


 

 

드디어 연필호가 달에 착륙했어요. 달의 웅장한 모습에 돼지학교 친구들은 가까워 지는 달을 더 자세히 관찰할 수있었어요.

지구 밖에서는 몸이 둥둥 떠다닙니다. 이것은 바로 중력때문이지요.

중력은 물체를 끌어 당기는 힘이예요. 달은 지구의 중력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아서 끌어 당기는 힘이 부족해요.

그래서 달에서는 몸이 가벼워져 지구에서 처럼 똑바로 걷기가 힘들답니다.

 

 

달에서는 낮이나 밤이나 하늘이 까메요. 달에는 지구처럼 빛을 산란시킬 대기층이 없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하늘은 까매도 낮에는 달 표면의 물체들이 환하게 보인답니다. 또 달의 낮과 밤은 무척 길어요.

한달의 반은 낮이고, 반은 밤이예요. 또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매우 크답니다.

 



달의 지도를 보면 달은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으로 되어 있어요. 어두운 곳은 짙은 검은색 현무암으로 덮여 있는
평원 지역이예요. 이곳을 '바다'라고 불러요. 바다라고해서 진찌 물이 있는 바다가 아니라,

천문학자 갈릴레오 갈리레이가 망원경으로 달을 처음 봤을 때 그 부분을 아주 고요한 바다 같다고 생각했대요.

그 후 천문학자 조바니촐리가 각 바다들에 이름을 붙였어요.

달의 표면은 거칠고 울퉁불퉁해요. 그중 움푹 파인 부분을 '그레이터'라고 불러요.


 

 

달 박물관으로 관 돼지학교 친구들 달을 최초로 밟은 닐 암스트롱의 발자국과 함께 달이 생겨난 배경에 대한 지식도 알려줍니다.

한쪽에는 루나 2호, 아폴로 11호등 달에 왔던 우주선 모형을 볼 수 있어요.

 

연필호를 타고 달에 착륙한 돼지학교 친구들이 달에서 궁금해했던것과 알아낸 것들을 보며, 함께 달나라 여행을 하듯 책을 보게 만드네요.

과학지식책이지만 재미있는 등장인물인 돼지 삼총사가 설명해주니, 그 내용이 머리에 더 쏙쏙 들어오는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