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위한 하루 한 줄 인문학 - 내면의 힘이 탄탄한 아이를 만드는 인생 문장 100 아이를 위한 하루 한 줄 인문학 1
김종원 지음 / 청림Life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답을 발견하는 하루 한 줄 인문학 수업

 

자녀교육 인문학, 아이를 위한 하루 한 줄 인문학

 

 

 

 

 

하루 한 줄 인문학은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인생문장'을 부모와

아이가 함께 읽고, 쓰고, 쓰면서 떠오르는 느낌을 말하는 교육입니다. 

 

아이들은 인생 문장을 읽고 쓰고 말하는 활동을 통해 인문학에서

배울 수 있는 가르침을 가장 쉽고 간단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이 책 한 권이면 세상을 느낄 수 있는 모든 감각을 단련할 수 있을 것이며,

말하기와 쓰기, 그리고 듣기 등 인간에게 주어진 모든 경쟁력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으며, 어떤 공부와 시련이 와도 두렵지 않은

 아이로 성장할 수 있게 해줄 것입니다.

 

 

 

 

 

주체적인 아이가 되는 최고의 비결은 공부로 쌓는 지식이 아니라

'실천하며 쌓는 경험'에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아이들에게 경험할 기회를 주고 싶다면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활동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장소에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취미나 특기를 활용해서

스스로 무언가를 주도하도록 해주면 그 과정을 통해 구체적인 질문을 창조할 수 있고,

자신의 존재를 세상에 주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이가 '나는 어리니까 할 줄 아는게 없지.'라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하려면,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

'나는 지금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아이가 멈추지 않도록 이끌어야 한다.

"저는 종이 자르기를 잘해요." "신발 정리는 제가 최고예요!"라는

식의 대답이 바로 나올 수 있어야 한다.

함부로 겸손하지 말자. 서툰 겸손은 나약한 자존감을 만들고,

'우리'라는 틀에 갇혀 영영 '나'라는 존재를 모르고 살게 만든다.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생각할 시간을 가져야 한다.'

 

「마시멜로 이야기라는 책이 있다. 짧게 요약하자면, 눈앞에 있는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오래 참은 아이가 나중에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내용이다.

 

우리는 참지 않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타인의 말을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초보가 경력자로 성장할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마음 아픈 사람이 회복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는다. 세상의 모든 폭력과 미움, 질투는 충분히 기다리지 않고,

자신에게 생각할 시간을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난다.

 

 

세상에서 가장 강인한 내면을 가진 사람은

홀로 앉아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사람이다.

 

길가에 핀 꽃 한 송이에서

거대한 대지를 발견할 수 없다면,

아무리 거대한 대지 앞에 서 있어도

꽃 한 송이 하나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내면의 크기가,

그 사람의 크기다.



 

 

 

어떤 상황에서도 분노하지 않고 타인을 배려하면서도 자신의 감정을

제어하는 부모의 모습을 본 내 아이가 저절로 최고의 가치관 교육을 받게 된다.

아이의 가치관 변화는 결국 부모의 삶을 통해 시작되기 때문이다.

 

 

기품이 넘치고, 긍정적이고, 밝고 아름다운 생각을 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은가?

그럼 한 가지만 기억하라.

 

 

부모가 자기 삶을 귀하게 여기며 정성을 다할 때,

아이의 모습도 부모가 원하는 그 모습으로 변한다.

 

 

기품이 흐르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함께'라는 단어를 가슴에 넣고 살아야 한다.

아무리 그 사람이 기품이 넘치는 태도를 갖고 있다고 할지라도,

손을 잡은 두 사람의 사랑을 이길 수는 없다.

두 사람보다는 세 사람이, 세 사람보다는 네 사람이 뜨겁다.

 

 

오늘부터 아이와 휴대전화를 끄고 필사를 시작하자.

한 줄의 글을 썼다는 것은 한 걸음 더 내 영혼에 다가섰다는 증거다.

원고 하나를 탈고한다는 것은 나를 아프게 한 영혼의 상처와 마주한다는 의미다.

필사하면 우리는 거대한 자신을 실감한다. 죽도록 아팠던 순간의 나를,

생의 한가운데서 펑펑 울었던 나를, 삶의 절벽 끝에서 아찔하게

서 있던 나를, 만나고 안고 쓰다듬으며 치유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