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말 교실 - 알면 알수록 재미있고 신기한 ㅣ 중등 문해력 교과연계 수능대비 필독서
조현용 지음 / 마리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외래어와 은어, 비속어, 거기에 급식체 사용으로 올바른 우리말 사용을 못하고 있는
요즘 아이들에게 "세종대왕님이 무덤에서 얼마나 슬퍼하실까?"라는 말을 자주 합니다.
저조차도 무의식에서 사용하는 잘못된 우리말들 올바른 우리말을 알아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알면 알수록 재미있고 신기한 우리말 교실>을 통해
우리말의 올바른 표현들을 배워보았습니다.
기본 규칙과 예외로 들려주는 우리말의 맞춤법
문법과 비유 이야기!
「알면 알수록 재미있고 신기한 우리말 교실」
조현용 지음 / 마리북스
우리말을 사용할 때 맞춤법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발음과 표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자주 혼동하는 맞춤법을 이 책에서는 쉽게 기억하는 방법으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또 문법이나 비유법을 보여주는 세상을 이야기하듯이 풀어 주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담았습니다.
말은 자칫 잘못 사용하면 상처가 되고 흉기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즐겁고 재미있는 대화로 가득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되고'의 '되', '돼요'의 '돼' 맞춤법을 자주 혼동합니다.
저도 많이 혼동하는 부분인데, 이 두 글자는 왜 혼동이 될까요?
'되'와 '돼'라는 왜 어려운 맞춤법일까요?
그 이유는 두 단어의 발음이 같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두 단어를 정확하게 구별하자면
앞의 '되'는 단모음으로, 뒤의 '돼'라는 이중모음으로 구별해야 하겠지만, 한국 사람들은
똑같이 '돼'로 발음을 합니다.
'되'와 '돼'의 구별과 '하해'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되'는 '되다'의 앞부분이고, '돼'라는 '되어'가 줄어든 말입니다.
'하'는 '하다'의 '하', '해'라는 '해요'의 '해'이기 때문에 구별이 같습니다.
따라서 하가 나오는 자리면 '되'를 쓰고, 해가 나오는 자리면 '돼'를 쓰면 됩니다.
우리말에서 의존명사는 주로 띄어쓰기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것, 바, 수, 지, 채, 체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의존명사는 반드시 앞의 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그런데 이 중에서 '채'와 '체'는 발음이 비슷하여 표기에서도 문제가 됩니다.
발음이 비슷한 예를 볼 때는 다른 어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유사한 의미를 가진 어휘나 어원적으로 같은 어휘의 형태를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유사한 형태나 어원에서 비슷한 발음의 어휘를 구별할 실마리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채'와 '체'는 차이점이 'ㅐ'와 'ㅔ'이기 때문에 여기에 해당하는 실마리를 찾아야 합니다.
'채'는 이미 있는 상태 그대로의 뜻입니다 '~한 그대로'라고 해석하면 됩니다.
반면에 '체'는 '척'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국어학에서 언제나 바꿔 쓸 수 있느 ㄴ어휘로 소개하는 게 바로 '체'와 '척'입니다.
어떤 맞춤법은 틀리는 이유가 상표나 방송에 있습니다.
요즘 방송에서는 우리말과 어긋난 표현을 자주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상표로는 '오뚜기'가 있습니다. 오뚜기는 카레 등으로 유명한데,
쓰러져도 일어나는 불굴의 상징이기에 회사명으로 썼을 것입니다.
하지만 오뚜기의 표준어는 '오뚝이'입니다. '오뚝'에 '이'가 붙어서 형성된 어휘입니다.
또 '나드리' 같은 상표도 발음 나는 대로 쓴 표기입니다.
'나들이'라는 하는 것이 맞으며 나가고 들어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문제는 외래어인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나는데 이는 고유명사에 대해서는 규제가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말의 외래어 표기법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도 상표나 사람들의 폭넓은 오용에 있지
않을까 합니다. 기본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것입니다.
'숟가락'과 '젓가락'의 맞춤법에 대해서는 다룬 사람들이 많습니다.
일부 호사가들은 숟가락이 입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디귿을 닮았고, 젓가락이 놓은 모습이 시옷을 닮아서
받침이 달라졌다고 이야기합니다.
숟가락에서는 그 단위명사가 바로 '술'입니다. '한 술 뜨다'라는 표현에서 술은 숟가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숟가락은 수에 디귿이 붙은 것이 아니라 술이 '숟'으로 변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에 젓가락의 저(箸)는 한자어입니다. 따라서 젓가락은 '저+가락'의 구성입니다.
한자어와 순우리말 사이에서 뒷말이 된소리가 되면 사이시웃을 쓰는 조건입니다.
우리말의 풀이와 어원을 알면 알수록 수수께끼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 말의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이유 없으 나온 말이 없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말을 어렵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그 탄생 배경과 원리를
많이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 책에서 나오는 우리말의 기본 법칙들을 보면서 우리말을 정확히 알아야 하는 이유,
우리말을 올바르게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알게 되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