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첼 레스닉의 평생유치원 - MIT 미디어랩이 밝혀낸 창의적 학습의 비밀
미첼 레스닉 지음, 최두환 옮김 / 다산사이언스(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차산업혁명으로 앞으로는 사람이 하는 일보다 AI와 같은 기계가 대신 일을 하는 

시대가 오게 되면 인간은 오직 창의적인 일을 하게 될 것이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초등학생부터 코딩 교육을 의무적으로 하게 되었다. 

이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여 창의융합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과정이라고

하지만 그저 단순한 기계적 코딩 교육으로 변질되어버리고 있는게 현실이다. 

 

창의융합 교육이 이렇게 변질되면 우리 아이들이 창의융합 능력 측면에서

뒤처질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미래 국가 경쟁력도 덩달아 떨어지게 될 것이다.

 

 

'스크래치의 아버지' 미첼 레스닉 교수가 30년간 추적한 4가지 창의 코드

「미첼 레스닉의 평생유치원」미첼 레스닉 지음 

 

MIT 미디어랩 미첼 레스닉 교수는 <미첼 레스닉의 평생유치원>을 통해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갈 세대를 위한 창의적 학습론을 제시하며, 30년 이상의 경험을 통해 발견한 어린이, 청소년들의 창의적인 학습 경험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전략을 이 책에 담아 올바른 창의융합 교육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X형 아이들은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것을 시도한다. 그들은 단순히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를

풀기보다는 자기 자신이 직접 문제를 정의하는데 더 열중한다. 이처럼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창의적 방향을 제시하는 학생이 바로 X형 학생이다. 급변하는 환경을 잘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삶의 모든 면과 모든 활동에서 이런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에 단지 직장에서만 창의적 사고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들을 창의적 두뇌로 성장시켜,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그들이 앞으로의 삶을 제대로 준비하도록 도울 수 있을까? 이것이 이 책의 핵심 질문이며, 지난 30년간 내 삶과 일에 동기를 부여한  질문이기도 하다. 


내 궁극적 목표는 자신과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끊임없이 개발하는 창의적 X형 사람들로 

가득 찬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창의적 사고는 언제나 삶을 가치있게 만들어주는 중심 요소였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창의적 두뇌로서의 삶은 경제적 보상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기쁨, 성취감, 목적, 그리고 의미를 제공한다. 커가는 우리 아이들은 그들의 삶에 있어서 적어도 이 정도는 마땅히 보장받아야 한다. 

 



 

 

어떻게 하면 이런 창의적 학습 경험을 장려하고 지원할 수 있을까? 내 MIT 연구 그룹은 아이들을 창의적 두뇌로 성장시키기 위한 네 가지 교육지침인 '창의적 학습의 4P'를 개발했다. 

이것은 프로젝트(Projects), 열정(Passion), 동료(Peers), 놀이(Play)로 구성된다. 

요약하면 우리 연구 그룹은 창의성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란 아이들이 '놀이'하는 것처럼 즐거운 마음으로 '동료'들과 협력하여 '프로젝트'에 '열정'을 가지고 빠져들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스크래치의 지속적인 개발은 이런 '창의적 학습의 4P'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나는 이 책에서 창의적 학습의 네 가지 요소인 '4P에 기회'를 주자고 주장한다. 


 

 

학교와 가정에서 아이들의 창의성을 키우는 일은 쉽지 않다. 비록 교육자와 학부모들이 창의적 사고의 가치를 인식하고 중요하게 여긴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장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실행하려 들면 여러 '긴장과 절충'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오늘날 아이들 삶에서 신기술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는 주로 아이들이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스크린을 접하는 시간인 '스크린 타임'으로 표현된다. 스크린 타임과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시간이 아니라 내용이다.  학부모와 교사는 스크린 타임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기보다는 아이들의 창의적 시간을 극대화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아이들이 사용하는 기술보다 아이들이 그 기술로 무엇을 하는지에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첨단 기술을 사용할 것인가, 기존 기술을 사용할 것인가, 그도 아니면 기술을 전혀 사용하지 않을 것인가? 학부모와 교사는 이런 문제를 노하는 대신에 아이들이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표현에 빠져들게 하는 활동을 찾아 나서야 한다. 


 

 

 

지난 수년간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딩을 배우려는 사람들의 관심이 급증하면서 아이들이 코딩을

배우는데 도움이 되는 수천 개의 앱과 웹사이트, 워크숍이 생겨났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도 이런 추세의 일부분이기는 하지만, 이것들과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 

 

글을 쓰면서 우리는 아이디어를 체계화하고 개선하고 검토하는 법을 배운다. 그렇기 때문에 글을 잘 쓸수록 생각을 잘하는 사람이 된다. 마찬가지로 코딩을 배우면 생각을 잘하는 사람이 된다. 예를 들어 복잡한 문제 하나를 단순한 여러 문제의 조합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법을 배우고,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하는 법을 배우고,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개량하고 개선하는 법을 배운다. 

 

이런 컴퓨터적 사고에 기초한 방법론을 한번 배우고 나면, 이것을 코딩과 컴퓨터 과학뿐만 아니라 모든 유형의  문제 해결과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레닉스 교수는 이제 연령을 불문하고 모두가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하고 있다.

창의성은 예술 활동 같은 아주 특별한 상황에서만 나타나는 것도 아니며, 천재에게만 주어진 특별한 능력도 아니다. 누구나 학습이 가능한 것이며 개인의 창의성은 학습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평생유치원을 통해 학교에서도 유치원에서 하는 것처럼 상상, 창작, 놀이, 함께 공유하기, 생각하기 등과 같이 집중하며  활동하는 것이 이어져가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 아이들이 4차산업혁명 시대를 살아남기 위해서는 주입식 교육이 아닌, 세상에 필요한 지식을 

언제라도 습득할 수 있는 '평생 학습자'로 길러내는 것이 진정 중요한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