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알파 : 리더를 깨우는 리더
대니엘 할런 지음, 김미란 옮김 / 비즈페이퍼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두 번째 이메일의 힘 … 리더를 깨우는 리더십

『뉴알파 : 리더를 깨우는 리더』(대니엘 할런 지음, 비즈페이퍼, 2017)

 

수많은 리더를 보아왔지만, 정작 정말로 선한 영향력, 선한 사람, 선한 일을 실천하는 사람을 찾긴 쉽지 않다. 왜냐하면 다들 자신만의 목표와 이기심이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렇다고 할 수 있지만, 조직 사회를 이끄는 리더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책은 데이비드 미첼이라는 영국 작가의 조언으로 시작한다. “우리가 저지른 악행과 우리가 베푸는 선행이 우리의 미래를 탄생시킨다.”

 

책의 서문에는 두 유형의 리더가 나온다. 자밀라와 재러드이다. 한 마디로 설명하지만 자밀라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선한 유형의 리더이고, 재러드은 악담과 성과 가로치기를 하는 나쁜 유형의 리더이다. 두 리더는 모두 우수한 성적을 받으며 인정을 받는다. 하지만 밑에 있는 사람들은 자밀라를 더 따르기 마련이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 같지 않은가. 대한민국 기업에서 자주 등장하는 직장 상사들의 유형이다. 하지만 자밀라 같은 상사는 정말 만나기 힘들다.

 

저자가 정의하는 ‘뉴알파’란 좀 더 큰 목적을 위해 성공을 이루고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들이다. 저자도 인정하듯, 다행히 우리는 정말 참신하고 보다 좋은 리더를 갈구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한 리더들은 인생의 모든 면에서 탁월함을 추구한다. 자기 자신보다 더욱 중요한 시대적 소명을 안고 사는 사람들, 그들에게서 뉴 알파의 전형을 본다.



 

자신을 뛰어넘는 리더들, ‘뉴알파’

 

대한민국 대부분의 직장 상사는 ‘올드알파’에 해당한다. 안타깝지만 말이다. 허나, 어디선가 정말 선한 의지로 부하 직원을 다루는 상사가 있기를 간곡히 바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뉴알파의 리더를 발견할 수 있다. 성공을 거머쥐었고, 영향력도 갖고 있다. 타인에게 심지어 귀감이 되는 사람들. 이들의 세 가지 핵심 신념은 다음과 같다. △ 우리 모두는 세상에 고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타고났다. △ 최상의 내가 되기 위한 길이 타인을 효율적으로 리드하기 위한 기본 능력을 키우는 길이다. △ 업적과 성취 이상의 존재적 의미를 가진다.

 

책은 크게 1부 ‘탁월한 사람이 되는 법’, 2부 ‘탁월한 리더가 되는 법’, 3부 ‘탁월한 그룹이 되는 법’에 초점을 맞춘다. 뉴알파 리더십 수업은 훌륭한 리더가 되기 위해 품격, 인간관계, 건강과 안녕, 마음가짐,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등이 우선이다. 이후에 리더가 되거나 그룹을 만든다. 플라톤은 “옳은 행동은 나 스스로를 강하게 만들고 다른 사람을 고무시킨다”고 밝혔다. 1부의 시작에 나오는, 뉴저지 주 상원의원 코리 부커의 행동은 감동을 자아낸다. 불난 옆집에 들어가 사람을 구한 것이다.

 

친절과 호의란 얼마나 중요한가. 낯선 곳에 처음 도달했을 때, 낯선 이에게서 받는 친절은 꿀맛과 같다. 착한 사람 콤플렉스의 차원이 아니다. 우리는 모두 친절과 호의를 먹고 자란다. 특히 공부를 하는 대학원이라면 정말 더욱 그러하다. 따뜻한 말 한마디가 나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책에는 저자인 대니엘 할런의 은사 데이비드 브래디 교수가 나온다. 그의 박학다식과 유머가 부럽다. 그러한 선생을 만나고 싶다.

 

친절과 호의 그리고 행동하는 용기

 

친절과 호의와 더불어 중요한 덕목은 행동하는 용기이다. 겸손도 중요하다. 노자는 “사람들 앞에서 스스로를 낮춰야 그들의 리더가 될 수 있다”고 적었다. 근면과 참여 역시 탁월한 사람이 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감성 지능을 키우고, 자기 관리를 하기 위해 책에 소개된 현실적인 팁 중에 하나는 다음과 같다. 즉 화가 날 땐 스페인어로 ‘진정’아라는 뜻의 ‘CALMA’를 외치라는 것이다. 이 단어는 Cuddling(포옹), Aerobics(에어로빅), Luna(루나, 내 고양이 이름), Mom(엄마), Altruism(이타주의)의 약어로 마음을 진정시켜보라는 조언이다. 재미있으면서도 현실적인 조언이다.

 

성공에 대한 마음가짐을 설명하는 장에선 저자가 실리콘밸리의 친구들에게 배운 명언이 있다. 그것은 바로 “허락을 받느니 용서를 구하는”편이 낫다는 것이다. 적극성은 매우 중요하지만 때론 화를 불러올 수도 있다. 하지만 그땐 차라리 용서를 구하는 편이 좋다는 것이다. 성공한 리더들은 변화를 앉아서 기다리지 않는다. 적극성을 위해선 허락보단 용서가 더 좋은 것이다.

 

책에는 자기 평가를 위한 질문과 대답, 뉴알파 트래커 실행하기, 지금 바로 실행하기에 대한 글쓰기 등 구체적인 실천 전략이 담겨 있다. 나로부터 시작한 뉴알라 리더수업은 탁월한 리더가 되기 위한 리더십 정의, 비전 세우기, 구체적 계획 세우기, 뉴알파 퍼스널 플래닝을 담고 있다. 이로써 탁월한 그룹이 되기 법으로 나아갈 수 있다. 그룹의 비전을 제시하고, 계획을 세우고, 계획을 실행하며, 발전과 성장의 동기부여를 지속하는 것이다. 물론 그 안에서 지속적인 혁신과 내적 갈등 해소, 소통은 매우 중요하다.

 

책에서 인상 깊었던 구절 중 하나는 “두 번째 이메일의 힘을 과소평가하지 마라”는 것이었다. 우리는 거절의 경험들이 많다. 거절당하는 것이 두려워 망설이고 속으로, 속으로 침잠한다. 책은 그러기 때문에 수신인이 분명하게 ‘노’라고 대답할 때까진 공손하고 품위 있게 연락을 계속 하라고 조언한다. 싫다는 대답을 들은 적이 없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간절한 마음을 담으면 인연을 맺을 수 있다고 한다. 이 책이 주는 감사한 그러면서도 선한 메시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