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앞에 선 유니콘 - 스타트업 성장에 대한 8가지 경고와 대안
천신레이.스잉보 지음, 김경숙 옮김 / 아이템하우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장 가치 1천억 달러 넘어서 기업들의 공통점은?

[서평] 『바람 앞에 선 유니콘 (스타트업 성장에 대한 8가지 경고와 대안)』(천신레이, 스잉보 저, 김경숙 역, 아이템하우스, 2020.05.20.)


주객전도. IT기술은 본질이라기보단 수단에 가깝다는 게 이 공저자들의 주장이다. 예를 들어, 동영상 공급업체 러스의 핵심은 생태계이고, 온라인 쇼핑에서의 본질 역시 바로 판매이다. 온라인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의 관점이 무엇인지 고민하면 그 본질을 꿰뚫을 수 있다. 이 모든 환경의 변화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판매’일 것이며,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은 제품 공급자만 살아남는다고 공저자들은 주장한다. 


공저자들은 머리말을 통해 ‘화려한 뿔 뒤에 숨겨진 함정’을 비판한다. <샤오미의 허점과 보완>이라든지 <러스의 허점>을 통해 기업들이 지닌 문제점을 드러냈다. 특히 1인 미디어부터 공용 자전거, 신유통과 소셜 미디어까지 허점을 하나씩 파헤쳤다. 


구글, 페이스북, 텐센트, 아마존, 알리바바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지난 25년 동안 시장가치가 1천억 달러(약 117조 원)를 넘어선 기업들이다. 그 뒤를 샤오미를 이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지만, 공저자들은 샤오미가 중국의 애플이 될 수 없는 이유를 조목조목 밝히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이유는 휴대폰 1대당 이윤이다. 애플이 151달러인 반면, 샤오미는 2달러다. 특히 온라인 마케팅만 고집하다가 애플을 따라하며 오프라인 매장들을 열고 있다. 




“진정한 IT 기업은 4가지 요소, 즉 기술, 시나리오, 데이터, 혁신을 갖추어야 한다. 샤오미는 마케팅에 강하고 자산 경량화 모델을 지향하고 있지만 진정한 혁신이 부족하다.”-38쪽. 


공저자들은 공유 자전거 역시 비판한다. 처음에는 자전거 대수와 투자 영역의 측면에서 큰 주목을 끌었다. 하지만 2018년 초에 급격히 식어갔다는 게 공저자들의 분석이다. 공저자들은 공유 자전거가 일부 사람들의 교통수단을 대체하지만, 그 비용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용 자전거는 세금만 투입되는 골칫거리로 전락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강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행동하고 또 행동하지만 약자는 오로지 불평만 한다.” 공저자들은 중국의 리테일인 ‘타오바오는 절대 아마존을 복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판매업은 환골탈태하고 있다. 그 특징은 ▲ 완벽한 구매 체험 ▲ 옴니채널 ▲ 신유통 ▲ 무경계 소매 등이 계속 쏟아지고 있다. 


“판매업계에는 현재 천지가 뒤집힐 만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변화에 뛰어들지 못하면 전통 판매업체는 도태되고 말 것이다.”-76쪽. 


사용자 독점의 시대에 유니콘의 미래는 어떨까? 구글은 유럽인들의 검색 엔진으로 자리 잡았다. 중국에서는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3대 사이트가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하며 데이터를 독점하고 있다. 원가의 측면에서 보자면, 구글의 독점이 사용자에게는 이익이라고 공저자들을 말한다. 하지만 독점적 지위가 결국 민주주의 위배나 불합리한 사회 자원 분배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역설이 발생한다. 


공저자들은 데이터 독점은 인터넷의 속성이지만, 인터넷 이익은 이제 끝났다고 주장한다. 특히 플랫폼 기업이 많은 중국에선 자기 제품이 없기 때문에 불안하다. 그들은 인터넷 기업이 제품과 기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 인터넷 기업들의 위기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