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없는 봄날, 영원한 꽃이 되고 싶다
이창훈 지음 / 꿈공장 플러스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너와 내 가슴에 ‘사랑’이 없었다는 게 유일한 가난

[서평] 『너 없는 봄날, 영원한 꽃이 되고 싶다 (이창훈 시집)』(이창훈, 꿈공장플러스, 2020.03.01.)


배송된 책의 첫 페이지에 시인 이창훈 씨의 친필이 정성스레 담겨 있다. 도장과 함께. 행여나 책이 구겨질까, 조심스럽게 책장을 넘겨보았다. ‘시인의 말’이 인상적이다. 어린 벗들에게 여전히 배우고 있다는 이창훈 시인. 그는 현재 고등학교 국어교사이다. 그는 사랑의 길을 선택해 시를 쓰기 시작했다. 이창훈 시인은 당부했다. “부디 사랑이 당신을 부르면 주저없이 따라가시길”


시집 『너 없는 봄날, 영원한 꽃이 되고 싶다』는 총 3부로 구성돼 있다. 제 1부는 ‘너 없는 봄날 너에게 영원한 꽃이 되고 싶었다’이다. 제 2부는 ‘가시는 내 안의 뿌리에서 돋아난 것이다’이다. 제 3부는 ‘길은 멀리 뻗어있고 해는 저문다’이다. 제 4부는 ‘누군가를 한 생을 다해 기다려 본 적이 있냐고’이다. 제 5부는 ‘이 별에 우리는 사랑하려고 왔다’이다. 


중년이 되어보면 안다. 사랑하는 일은 사랑을 내어주는 일이라고. 사랑을 받는 일보다 사랑을 주는 게 훨씬 더 큰 사랑이라는 것이다. 이창훈 시인의 <도마>에선 자신의 가슴 한 켠에 시퍼런 도끼를 허락하는 도마의 아픔을 그렸다. 그렇다. 사랑이란 서슬 퍼런 상처를 남기는 것이다. 또한 <독감>에선 사랑을 아는 것이 아니라 사랑은 지독하게 앓는 것이라고 노래한다. 




상처를 허락하는 마음이 결국 사랑이다


<산>에선 사랑이 깊은 곳에 이르는 곳이지 높은 곳에 오르는 게 아니라고 반성한다. 우리는 누구나 사랑이라는 것이 어떤 정점에 이르는 걸 상상한다. 하지만 사랑이란 더욱 깊고 낮게 깔리는 것이다. 이창훈 시인은 삶을 회상하며 사랑이 없었다는 걸 반성한다. <가난에 대한 사색>을 보자. 


“부족함이란 어쩌면 영원한 환상 / 멈추어 서서 뒤돌아 보며 / 정말 참회해야 할 일이란 

나의 / 당신의 / 우리의 가슴 안에 / 사랑이 없었다는 것

그것이 바로 / 유일한 가난“-45쪽. 


사랑의 또 다른 이름은 아마도 기다림이 아닐까. <이 사랑>이란 시를 보면, 사랑해서 쓸쓸한 것이지, 쓸쓸해서 사랑한 게 아니라고 노래한다. 기다림과 길은 영원처럼 길게 길게 뻗어나 있다.  


나는 누군가를 평생 기다려본 적이 있을까. 그는, 그대는, 당신은 어디에 있을까? <눈오는 날의 사랑노래>는 총 19개 절로 이루어져 있다. 눈오는 날, 첫눈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누군가를 기다려본 적이 있는가?


<악마와 천사>에선 아주 적절한 비유가 등장한다. 악마는 언제나 다음으로 미루려는 경향이 있다. 반면, 천사는 지금 당장 무언가를 하라고 한다. 


『너 없는 봄날, 영원한 꽃이 되고 싶다』에 대한 추천의 글을 쓴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조서희 교수(한국시인학교 교장)는 “그(이창훈 시인)의 시에는 인간 근원의 문제인 고독과 그 치유의 방편인 사랑의 다양한 담론들과 철학적 사유가 깊다”면서 “받는 사랑이 아닌 주는 사랑에서 미학을 찾아내, 기꺼이 그 외로운 길을 걷는 이창훈 시인은 인간의 내면과 존재 가치를 정감 어린 언어로 풀어내는 언어의 마술사다”라고 적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