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월의 에티오피아
김대원 지음 / 꽃씨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티오피아 마이막덴에서 보낸 농촌 개발교육이 핵심!

[서평13월의 에티오피아』(김대원꽃씨, 2019.12.10.)


사회복지사로 일하던 김대원 씨는 아프리카 단기선교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보고 지원한다아프리카는 무엇이든 부족한 곳이다거기서 김대원 씨는 참치 통조림을 누가 몰래 먹은 것을 알아차리고는 살인충동을 느꼈다그만큼 먹을 것이 매우 열악한 상황에서 봉사를 해야 했다대학교 수업에서 교수님에게 들은, ‘누구나와 다른 사회복지사가 되라는 말씀을 가슴에 담고 살아왔다.


탄자니아에서 한국인을 우연히 만나 그의 언행과 얘기에 감동을 받은 김대원 저자코이카를 통해 영양 분야 농촌개발 봉사를 하는 50대 중반의 영양사를 만나고 나서도 이런 저런 얘기를 많이 들었다그래서 그녀는 코이카 봉사단에 지원하고 합격했다여러 대원들과 교육을 받으면서 시니어와 주니어의 소통을 역할을 톡톡히 했다. 40대인 김대원 저자는 남에게 대접받고 싶은 만큼 남에게 행동하자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


김대원 저자는 에티오피아를 봉사 활동 지역으로 지망했다에티오피아는 6.25 전쟁 때 파견을 해준 고마운 나라이기도 하다한 번 봉사를 떠나기 위해선 4주간의 교육현지에서의 언어 교육 등 다양한 교육이 동반된다그 가운데 우리나라를 배우기도 하고현지를 알아가기도 한다현지 학원에서 배운 에티오피아 언어의 문자는 피델이라고 불린다꼬불꼬불 써야 하는 문자는 김대원 저자에게 정말 어려웠지만반복에 반복을 거듭한 결과 조금씩 입과 귀가 열렸다그러면서 공부에도 다 때가 있다는 걸 실감했다.




에티오피아 언어의 문자 피델을 배우다


책 제목이 왜 『13월의 에티오피아』인가 보았더니에티오피아는 달력을 다르게 쓴다고 한다이럴수가다른 달력이 있어서 에티오피아는 13개월이 있다우리가 흔히 쓰는 달력에 비해 7년 8개월이 늦다고 하니정말 세상 오래 살고 볼 일이다김대원 씨가 도착한 곳은 마이막덴이라는 시골이다약 300가구에 24백 명이 살고 있다학교도 많이 있지만마을이 개발되기 위해선 여러 노력이 필요하다특히 비가 오지 않아 물이 매우 부족하다.


김대원 저자는 그곳에서 팀장 역할을 맡았다이전 선배 기수가 해놓은 것을 잘 마무리하고, 1년 2개월 안에 새로운 사업을 추진해야 했다가장 중요한 건 마을의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일이었다마을 자체적으로 농촌이 개발되고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협치를 만들어내는 게 필요한 것이다김대원 저자는 면 생리대를 만들기 위해 사방팔방으로 노력했다그리고 끝내 사업을 성공시킨다또한 주변에 성공한 마을 사례를 보면서 각오를 다지기도 했다.


13월의 에티오피아』을 읽으면서 가장 놀랐던 건 수많은 사업계획과 프레젠테이션이었다교육의 차원에서 무수히 많은 지점들이 교차되고 있었다봉사를 하려고 해도치밀한 계획과 교육이 병행되지 않으면 쉽지 않다는 뜻이다에티오피아에는 메켈레대학교가 있다이곳 협동조합학과와 협력하며 에티오피아 농촌 개발 사업을 진척을 보였다.


먼 타지까지 가서 봉사 활동을 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특히 낯선 곳의 환경이 열악하다면 더욱 그러하다김대원 저자는 그래서 많이 아팠다그래서 그녀는 사랑 더하기 사랑을 강조한다후반부에 작별하는 모습은 읽는 사람을 짠하게 만든다강아지 부치의 모습 역시 그곳에서의 농촌 개발 활동이 정말 치열했고사랑스러웠음을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