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부작 - 잠 못 드는 사람들 / 올라브의 꿈 / 해질 무렵
욘 포세 지음, 홍재웅 옮김 / 새움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주하듯 써내려간 소설, 마침표 대신 쉼표

[서평] 3부작 (잠 못 드는 사람들 올라브의 꿈 해질 무렵)(욘 포세 저, 홍재웅 역, 새움, 2019. 10.04.)

 

존 포세는 언어로서 음악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분위기와 역동성을 만들어 내려고 시도했다. 일찍부터 음악을 배웠고 록밴드 활동을 했다. 그렇게 바이올린과 기타 등을 거의 병적으로 연주하던 열여섯 살의 어느 날 음악을 끝내고 글쓰기를 시작했다. 그는 언어를 음악처럼 다루었다. 3부작은 크게 호평을 받았고 2015년 북유럽 이사회 문학상을 수상했다.

 

한 눈에 보기에도 문장은 마침표가 없었다. 궁금증을 유도하여 다음 문장으로 이어가도록 독자들을 이끄는 힘이 있었으며 거대한 갈등은 그려지지 않았다. 인물은 주인공을 제외하고 따로 언급이 되지 않았다. 대신 높은 모자를 쓰고 얼굴에 턱수염이 나고 긴 지팡이를 들고 긴 외투를 걸친 그 남자가 그 자리에 서 있는 것이 보인다”(85p)와 같은 묘사를 반복하여 인물을 나타내고 있었다.

  



가여운 커플의 인생사

 

1<잠 못 드는 사람들>에는 알리다와 아슬레가 나온다. 둘은 결혼을 하지 않은 커플인데, 알리다는 임신을 한 상태였다. 둘은 묵을 방을 찾아다녔지만 아무도 그들에게 방을 빌려주지 않았다. 1부의 주요 사건은 두 주인공이 묵을 곳을 찾아 떠도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 과정 속에 두 주인공의 상태와 대사, 심리 그리고 떠돌게 된 배경과 가족 관계 등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

 

배경 묘사는 주로 대화로 이루어졌다.

 

저기, 배들이 전부 정박된 곳 너머에 저기 광장 말이야, 저기에, 저기 온통 사람들과 가게들이 있는 게 보이지, 거기야, 라고 말하자, 알리다가 우린 저기로 갈 필요는 없을 것 같아, 거리 반대편으로 가면 어때, 저긴 사람들이 적으니까 다니기 편할 것 같아, 라고 그녀라 말한다,”-40p

 

알리다의 출산이 임박하자 아슬레는 결국 어느 노파의 집에 들어가 그녀를 알리다 몰래 죽이고 집을 차지하고서 아기 시그발을 낳게 했다.

 

이야기는 2<올라브의 꿈>으로 넘어간다. ‘올라브라는 생소한 이름이 등장하여 다른 이야기가 전개될 줄 알았지만,

 

이제 난 아슬레가 아니라 올라브야, 그리고 이제 알리다는 알리다가 아니라 오스타고, 이제 우린 오스타와 올라브 비크야,”-90p

 

라는 시작 부분으로 보아 주인공 커플이 이름을 바꿨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올라브는 자신들의 관계를 공식화시켜줄 반지를 구입하러 길을 걷다가 자신의 과거 행위를 알고 있는 노인을 만났다. 그리고 어느 술집에서 그 노인을 다시 만나지만 무시했다. 그런데 올라브는 시내에서 여러 유혹을 당하고 만다. 와중에 자신들이 위험에 빠졌음에 달아나려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고 올라브는 경찰에 붙잡혀 교수형을 당했다.

 

하이데거와 포세의 예술

 

문장 가운데 운율과 리듬을 느끼게 하는 부분이 많았다.

 

저 남자는 체구가 크지 않고 오히려 무척 작아 보여, 그리고 검은 옷을 차려입고 조금 구부정하게, 느릿한 걸음으로 구부정하게, 그런 식으로 걸어, 마치 걷다가 생각하다가 하는 것처럼, 그렇게 걸어, 그리고 머리에는 잿빛 두건을 쓰고 있어, 그런데 왜 저렇게 느리게 걷는 거지, 저자는 느리게 걷고 있는 게 분명해, 내가 아무리 느리게 걸어도 점점 가까워지고 있으니까, 난 느리게 걷고 싶지 않은데, 난 가능한 한 빨리 걷고 싶어,”(91p)

 

와 같은 부분의 경우도 같은 상황이 반복되는 듯 묘사됐지만 음악적인 리듬이 있었다.

 

이야기는 3<해질 무렵>으로 넘어가는데 또 다시 생소한 이름이 나온다. 3부의 배경은 수십 년이 흐른 미래였다. 알리다는 늙어서 죽었고, 죽기 전까지 오슬레이크라는 동향 사람과 결혼해 자녀 여럿을 둔 상태였다. 책의 2부가 아슬레의 이야기에 중점을 주었자면, 3부는 알리다 이야기가 주였다. 아슬레의 교수형 이후 어떻게 알리다가 오슬레이크를 만나 지금에 이르렀는지가 묘사되었다.

 

하지만 아슬레가 죽었다는 말은 충격이었어, 그가 목 매달렸다니, 퓐텐에서 그가 목이 매달렸다니,”-227p

 

이야기는 주로 사실만을 묘사해 나열하고 있었다. 직접적인 감정 표현 없이 독자로 하여금 감정을 느끼고 음미하게 이끌었다. 감정을 직접 나타내는 문구는 없었다. 이야기는 그렇게 마무리가 되었는데 책을 덮고 나서도 가난하고 춥고, 배고픈 두 주인공의 심정이 너무도 깊이 와 닿아 가슴이 아플 정도였다.

 

작가 포세는 희곡 이름으로 노르웨이의 입센상을 수상하였다. 근래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자주 거론되는 중이다. 초기에 소설을 쓰기는 했지만, 서른 편 정도의 희곡을 통해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상태였다. 소설로 장르를 옮겨 선보인 작품 가운데 대표작을 꼽는다면 단연 이 3부작이라고 할 수 있었다. 작품은 시공간을 넘나들며 문장 간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모든 텍스트는 사람들이 내적으로 생각하고 고심하는 모습을 담아낸 길고 긴 덩어리의 형식이었다. 유일하게 글의 뜻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 찍는 쉼표들이 있을 뿐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는 읽어내기 어렵지 않았다. 포세의 작품에는 평범한 사람들의 사랑, 고독, 절망 등이 묘사되고 있었다. 특별한 갈등 구조는 없었다. 두 주인공이 떠도는 부분에서 인간의 근본적인 존재의 고독, 원초적인 고독이 표현되었다.

 

또한 소박한 수사나 간결한 내용, 단순하고 짧은 대사로도 충분한 예술성을 그려졌다. 시간 전개는 과거, 현재, 미래의 구분 없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포세 작품의 근본을 이루는 주요한 토대는 그가 학창 시절에 심취해 있었다던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