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특별판)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스티븐 킹, 유혹하는 글쓰기

 

글을 쓰기에 앞서, 소설 작가 스티븐 킹이 말하는 글을 쓰면서 하지 말 것들에 위배되지 않을까 조금 두렵다. 이 책을 읽으면서 스티븐 킹에게 그동안의 습관들을 호되게 지적받는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나는 소설을 쓰는 사람이 아니다. 그렇지만 어쩔 수 없이 글은 꾸준히 써야할 것이다. 앞으로의 글을 쓰며 지닐 태도에 대한 지침을 가져갈 수 있었다. 글쓰기에 대해 품고 있던 작은 의문들에 답을 내려 보았다.

 

 

1. ‘부사와 수동태를 한사코 피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태껏 써왔던 과제, 일기 같은 것들을 대충 봐도 수동형 문장이 많다. 나는 이런 습관이 내 인생에서 제일 꾸준히 읽은 수능 영어문제집 해설지 때문이었다고 결론지었다. 읽은 것들이 그대로 쓰기의 습관이 되어 번역투가 글을 뒤덮고 말았다. 언젠가부터 문장의 수동형을 바꿔야겠다는 문제의식이 들어서, 수동형 문장을 쓰지 말라는 부분이 유독 와닿았다.

 

수동태로 쓴 문장을 두 페이지쯤 읽고나면 이를테면 형편없는 소설이나 사무적인 서류 따위나는 비명을 지르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수동태는 나약하고 우회적일 뿐 아니라 종종 괴롭기까지 하다. ”

 

결국에 수동형으로 바꿔 버리면 주장하는 주체가 말하고자 하는 무엇이 약해진다. 다시 말해, 주도적인 전달력을 거듭하여 줄일 이유는 없다는 것이다. 힘찬 글을 쓰고 싶다면, 능동태를 쓰라고 저자는 말하는데,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히 드러나는 방법일 것 같다.

 

스티븐 킹은 수동태와 마찬가지로 부사도 남발하지 않는 편이 낫다고 한다. 소심한 작가들을 염두에 두고 하는 조언이 되겠다.

 

그렇다. 이 부분에서 많이 찔렸다. 이것은 내 고민거리인데 부사를 넣지 않고서는 문장이 허전한 것만 같고, 그렇다고 넣으면 내 어휘가 너무나 빈약한 것 같아 항상 넣을지 말지 고민한다. 부사는 문장을 보충해 주는 것 같지만 문장을 약하게 만드는 요소이다.

 

 

2. 왜 나에게 영감(뮤즈)이 오지 않는 걸까?

 

답은 뻔하다.

 

나는 무엇보다 내 뇌에 부지런히 스티븐 킹만큼의 input을 넣지 않았다. 책의 전반부에는 스티븐 킹의 삶이 그려지는데, 그는 어릴 때부터 기괴한 장르의 영화를 좋아했다고 나온다. 극장에 뻔질나게 드나들었고, 영화만큼이나 책도 많이 읽고, 소설도 많이 썼다.

 

과제를 처음 시작하거나, 팀 프로젝트를 하거나, 짧은 글을 한편 쓸 때 막막하고 부족한 이유는 여태껏 나를 이룬 재료들이 빈약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사실을 간과하고서 아무 것도 않하고 허공을 바라보며 무작정 영감이 오길 기다리고 있던 적이 많다.

 

재료가 없다면, 꾸준히 작업할 의지라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꾸준히, 정해진 작업 시간에 나를 놓아야 하겠다.

 

뮤즈를 기다리지 말라. 여러분이 해야할 일은 날마다 아홉시부터 정오까지, 또는 일곱 시부터 세시까지 반드시 작업을 한다는 사실을 뮤즈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3. 결국 많이 읽고 많이 써라의 법칙은 불변하는 진리인가

 

유혹하는 글쓰기말고도 글쓰는 방법을 소재로 하는 책을 몇 권 읽은 적이 있는데 공통적으로 말하는 바가 있다. 무슨 글이든 쓰라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그것을 멈추지 말라는 것이다. 결국에 스티븐 킹이 주장하는 것도 이와 같다. ‘뿌린대로 거둔다.’라는 격언은 진부하지만 그 나름의 진부한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또 얼마만큼의 각성의 기운이 나에게 지속될지는 모르지만, 그냥 얻는 것은 없다는 마음으로 게으름에서 벗어나야겠다는 욕심이 든다.

 

이렇듯 유혹하는 글쓰기를 읽고 떠올린 단상들을 정리해보았다. 다시 읽어보니 초등학생의 반성문 같지만 내가 말할 것의 전부인 것 같다.

다만 글쓰기로 유혹하는 법이 무엇일지는 다시 한 번 읽어봐야 알 수 있을 듯하다,

지금은 그저 당장 글쓰기에 적용할 수 있는 팁들을 조금 담아가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