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자기조절 연습 -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책상에 앉는 아이를 위한
이주미 지음 / 유노라이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아이를 키울때 공감능력이 중요하다고 

 

각종 매체에서 떠들어 댔던 적이 있다.

 

물론, 아이의 눈높이에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주고 

 

받아주는게 중요하지만, 

 

무분별한 공감이 오히려 아이들을 이기적이고, 

 

스스로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쉽게 말해, 어떤 행동, 어떤 상황에서도 오냐오냐~

 

 

니가 맞다~ 우리 애기가 최고다~

 

라는 상황을 만들고,

 

그로 인해 요즘 아이들이 갖는 문제점들도 분명 존해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대 아니나 다를까?

 

[초등자기조절 연습] 이 책에서 내가 걱정했던 그러한 상황을 

 

설명해주고 있어 깜짝 놀랐다.


프롤로그에 보면 작가의 친구가 아이를 기르는 모습이 나온다. 

 

아이를 사랑하고 헌신적이지만, 그로인해

 

제대로 가르치지 못햇던 부분들.

 

제멋대로인 행동에도 화를 내지 않고, 늘 아이의 편이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엄마에게 의지하기만 하는... 

 

6학년이 되어서도 그러한 행동을 한다는 것에 

 

난 꽤나 큰 충격을 받기도 했고, 

 

나도 그렇게 오냐오냐 키우고 있지는 않나,,,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것중 하나는 부모가 원칙을 가지를 것이다. 

 

무조건 적인 허용도, 부모의 기분에 따라 달라지는 기준도 옳지않다.

 

 

예를 들어 학교는 절대 빠지면 안된다.

 

학교를 갔다와서는 숙제부터 해놓고 놀아야한다.

 

라는 기준에는 절대 예외를 두면 안된다.

 

아이의 고집이나 말에 휘둘리지 말고 

 

강하고 단호하게 나아갈수도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아이는 책임감을 배우고,

 

스스로 행하려고 노력하며, 성취감도 느낄수 있게 된다.

 

물론 이 모든 과정에서 부모의 애착이 없으면 안된다.

 

한가지 예로 퀴리부인과 아인슈타인이 나온다.

 

퀴리부인은 바쁜 와중에서 아이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격려를 아까지 않았다.

 

그리하며 큰딸은 과학자, 작은딸은 작가가 되었다.

 

위대한 과학자 아인슈타인은 오직 

 

자신의 연구에만 몰두하며 아이들과는 어떠한 애착관계도 없었다.

 

가정을 파탄났고. 아이들은 이혼한 엄마의 손에 자랐다.

 

그후에도 아버지의 무관심은 지속되었고,

 

결국 정신분열증에 걸린 아이는 자살하게 된다.







 자기조절력이 있는 아이들은 스스로 공부를 할수도 있고,

 

자신의 목표를 향해 나아감에 있어 주저함이 없다.

 

공부하는 태도를 보면 아이가 사회에 나가서 자신의 일을 어떻게

 

대하고 성과를 보일지 알수 있다. 

 

공부라는 자신에게 맡겨진 일을 책임감 있고, 성싱하게 대하는 

 

아이는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성적이 오를수 밖에 없는

 

기본기를 갖춘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 아이들이 자기조절능력을 갖추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수 있다. 

 

무조건 다 해주는 부모가 되기보다는 

 

스스로 헤쳐나갈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부모가 되야겠다는

 

다짐을 다시금 하게 되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