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이와 공작새
주드 데브루 지음, 심연희 옮김 / 북폴리오 / 2018년 2월
평점 :
언제부턴가 로맨스 소설은 읽지 않았다. 왠지 유치해 보이기도 하고, 나와는 안 맞는 옷을 입는 느낌이었다. 요즘 드라마나 예능에서 워낙 단골 소재로 많이 다루기에 식상하기도 했다. 그런 차에 이 소설을 읽었다. 『파이와 공작새』.
일방적으로 남자친구에게 차인 요리사 케이시. 그녀는 한 시골 마을 서머힐에 머물며 휴식을 취한다. 그런데, 어느 날 아침 집주인 테이트와 마주친다. 놀랍게도 그는 벌거벗은 몸이었다. 그는 지역 연극에 참여하기 위해 집에 잠깐 온 것이었다.
케이시를 파파라치라고 오해한 그는 언성을 높이고, 케이시 역시 테이트를 거만하다고 판단한다. 한편, 연극을 총괄하는 키트는 테이트의 상대역 배우로 케이시를 고려한다. 과연 연극이 제대로 올려질 수 있을까. 또한, 테이트와 케이시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
이처럼 기본 스토리는 단순하다. 백마 탄 왕자님과 극히 평범한 소녀의 만남과 사랑. 그렇지만, 이 소설은 읽어갈수록 앞으로의 내용이 더 궁금해지게 만든다. 또한, 주인공 외에 키트, 지젤, 니나, 데블린 등의 주변 인물들도 톡톡 튀는 양념 역할을 제대로 해 소설의 분위기를 한층 풍성하게 한다.
또한, 이 소설의 인물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상대방에게 들려준다. 그 ‘이야기’들이 이 소설의 핵심을 이루어간다. 독자들 역시 이야기에 귀 기울이게 되어 결국엔 소설에 깊이 빠지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추리소설 같이 진실을 파헤쳐가는 기분도 맛본다.
마지막으로 이 소설이 다른 로맨스 소설과 차이점을 주는 것이 있다. 바로 소설 안의 인물들이 연기하는 연극이다. 영문학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오만과 편견>을 소설 곳곳에서 맛볼 수 있다. 특히 소설의 주인공 케이시와 테이트를 <오만과 편견>의 주인공 엘리자베스와 다아시와 비교해 보는 재미도 있다. 소설의 이런 장점을 한 매체는 이렇게 표현한다.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 주드 데브루는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에서 21세기판 희곡을 새롭게 그려냈다.
로맨틱하고 유쾌하면서도 평범하지 않은, 꿈결 같은 스토리의 재구성.” (키커스 리뷰)
한 가지만 덧붙이자면, 이 소설의 제목은 <파이와 공작새>. 로맨스소설의 제목으로는 영 탐탁지 않았다. 그렇지만, 다 읽고 난 후, 이 제목이 정말 잘 들어맞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바로 파이와 공작새가 두 남녀 주인공을 연결해주는 결정적인 매개체가 되기 때문이다. 간만에 재미있으면서도 사랑과 인생에 대해 생각해 보게 만드는 좋은 소설을 읽었다. 만약 이 소설이 영화화된다면, 누가 주인공의 역할을 맡으면 좋을까? 벌써부터 캐스팅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