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 카뮈 살림지식총서 51
유기환 지음 / 살림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방인. 고전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 책이다. 쉽사리 손에 가지 않았다. 아니, 아예 읽어볼 시도조차 없었다. 왠지 어려울 것같은 선입견 때문이다. 자연스레 저자인 알베르 까뮈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다. 관심이 없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알베르 까뮈. 우리나라의 대표문고 <살림지식총서> 51번째 책이다.


 

 

까뮈가 언제, 어디서 태어났고, 어떤 생애를 살았는지 쭉 기술하지 않았다. 그 점이 좋았다. 백과사전이나 인터넷을 검색하면 곧바로 나오는 지식이 아니었다. 프랑스문학의 전문가라 할 수 있는 유기환 교수(한국외대 프랑스어과)는 까뮈를 재구성한 것이다. , 여러 가지의 키워드를 제시해 까뮈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왔다. 키워드는 이렇다.

 

알제리, 부조리, 이방인의 탄생, 레지스탕스와 신문기자 카뮈, 지중해 사상과 아웃사이더 카뮈 등

 

<알제리:태양, 바다, 침묵>에서는 까뮈의 삶을 짧게 기술했다. 카뮈의 아버지는 그가 어렸을 때, 전사한다. 어머니는 선천적으로 귀가 어둡고 말도 더듬었다고 한다. 그런 가정환경에서 카뮈는 어떤 꿈을 키울 수 있었을까? 다행히 그는 중등교육을 받을 수 있었고, 독서의 갈망이 있었다. 하지만, 고통은 끝나지 않는다. 대학 때 폐결핵을 앓는다. 일찍 한 결혼도 실패한다. 까뮈의 삶을 저자는 이렇게 묘사한다.

 

카뮈는 알제리에서도 프랑스에서도 이방인취급을 받았다. (9)

지중해는 카뮈의 고향이자 카뮈의 사상이었다. (13)

 

이런 그의 삶이 대표작 이방인을 만든 자양분이 되었으리라. 저자는 이방인을 이렇게 표현한다.

 

중성적 글쓰기, 카메라와도 같은 객관적 시선의 묘사, 주인공 성격의 애매성, 파란곡절이란 찾아볼 수 없는 줄거리, 연결사 사용의 절제 등은 소설의 20세기적 현대성, 바로 그것을 특징짓는다. (34~35)

 

까뮈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부조리일 것. 이방인을 비롯해 철학적 수필 시지프 신화등이 여기에 속하는 작품이다. 뿐만 아니라, 까뮈는 반항사랑에 대한 작품도 썼다. 또 다른 대표작 페스트가 반항이라는 주제를 다룬 작품이다. ‘사랑에 대한 작품은 최초의 인간인데, 까뮈가 불의의 사고로 죽음으로써 미완성으로 남았다.

 

40대에 요절한 까뮈. 그는 삶을 통해 부조리를 드러냈는지도 모른다. 알베르 까뮈를 통해 부분적으로나마 까뮈를 이해할 수 있었다. 100여 페이지가 채 안 되는 <살림지식총서>의 덕이다. 이제 다음 차례는 이방인을 비롯한, 그의 대표작들을 읽어 보고 싶다. 부조리한 세상을 그렸던 그의 작품, 지금 역시 유효할 것이다.

 

진실은 신비스럽고 붙잡기 힘든 것이지만, 작가는 언제나 그것을 포착하려 애쓰지 않으면 안 된다. 자유는 위험하고 실현하기 힘든 것이지만, 작가는 언제나 그것을 구현하려 애쓰지 않으면 안 된다. (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