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도 인생도 내려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 - 실패를 기회로 만드는 등산과 하산의 기술 아우름 10
엄홍길 지음 / 샘터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홍길. 2000년 세계 여덟 번째, 아시아 최초로 히말라야 8천 미터 14좌를 모두 올랐다. 2007년에는 위성봉인 얄룽캉과 로체샤르까지 올랐다. 이로서 세계 최초 히말라야 8천 미터 16좌 완등을 달성한 것. 실로 한국을 넘어 세계에서 주목하는 산악인이다.

 

그 칭호를 얻고, 기록을 작성하기까지는 열여덟 번의 실패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동료 열 명의 죽음을 옆에서 지켜봐야 했다. 생생한 도전과 실패의 현장으로부터 배운 인생의 지혜를 엄홍길 대장은 한 권의 책에서 나눈다. 산도 인생도 내려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는 에베레스트 등정 이후, 히말라야 8천 미터 고봉에 도전했다. 그런데, 여섯 번을 내리 실패했다. 동료의 죽음도 맛보았다. 그럼에도 계속 도전하는 그 자체가 찡했다.

 

산올 오를 때 자연의 악조건보다 더 두려운 존재는 나 자신이었습니다. 정상에 오르는 것은 다른 누구도 아닌 나 자신이기 때문에, 이겨 내느냐 이겨 내지 못하느냐는 나 자신에게 달려 있습니다. (65)

 

결국 14좌 완등을 이루고, 세계 최초로 16좌 완등에까지 성공한다. 어쩌면 승리에 취할 수 있던 그는 내려감의 미학을 깨닫는다.

 

도전의 진정한 성공은 출발 지점에 다시 돌아왔을 때 성취될 수 있어요. 정상에 있을 때가 전부라고 생각하는데 그건 아마 성공의 또 다른 시작을 의미하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101)

 

그에게 있어 또 다른 시작이란 학교 세우기였다. 20085월 엄홍길휴먼재단을 설립하고, 히말라야 아이들을 위해 산간 오지 마을에 짓기 시작한 것이다. 그것 역시 등산만큼이나 힘든 도전이었다. 4,060미터나 되는 곳에 학교를 짓는다는 건 무모해 보였다. 자재를 그곳까지 올리는 것도 어려웠고, 자재비와 건축비, 거기에다 수송비가 만만치 않았다.

 

그럼에도 도전을 멈추지 않았고, 결국 20105월에 휴먼스쿨 1호 학교는 개교했다. 201512월에는 아홉 개의 학교가 세워졌다. 히말라야 16좌만큼 열여섯 개의 휴먼스쿨을 세우자는 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엄홍길 대장은 세계 최고의 산악인이라는 명칭으로 남은 생을 편히 살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학교를 세워 어려운 아이들을 실제적으로 돕고 있다. 어쩌면 인생의 제일 찬란한 순간은 그에게 있어 16좌 완등했을 때가 아니라, 끝없는 도전을 펼치고 있는 지금일지 모른다.

 

인간의 정신력이란 얼마나 대단한가.’를 엄홍길 대장은 자신의 삶을 통해 증명해 내는 것 같다. 최고의 자리에 있는 지금도 끊임없이 도전한다. 모두가 힘겹다고 말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겐, 그의 삶 자체가 롤모델 아닐까. , 도전해 보자. 성공도, 실패도 괜찮다.

 

한 번 오르고 말 산이 아니다. 얼마나 많이 실패하느냐에 따라 어떤 상황에서도 대처할 수 있고, 역경을 딛고 일어날 수도 있다.’ (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