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을 순례하다 - 건축을 넘어 문화와 도시를 잇는 창문 이야기
도쿄공업대 쓰카모토 요시하루 연구실 지음, 이정환 옮김, 이경훈 감수 / 푸른숲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공기나 햇빛을 받을 수 있고,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벽이나 지붕에 낸 문.’ 창의 사전적 정의이다. 창은 우리 주위에 늘 있다. 단잠을 자는 방에서부터 일하는 일터 등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공간에서 창을 만날 수 있다. 하지만, 어쩌면 그렇기에 우리는 창의 소중함을 잊고 살 때가 많지 않을까.


여기, 창에 대한 책이 있다. 거의 창에 대한 모든 것이다. 창을 순례하다. 창을 순례한다니? 그것도 한 나라, 한 지역이 아닌 무려 세계 28개국이다. 집을 순례하고 살펴본다면, 어렴풋이 이해가 된다. 하지만, 이건 창이다. 거의 네모난 모양에 유리가 끼어 있는. 이 무모한 순례를 시도한 것은 역시 디테일에 강한 일본인이다. 도쿄 공업대 쓰카모토 요시하루 연구실의 쓰카모토 요시하루, 곤노치에, 노사쿠 후미노리이다.

 

 

약간 반신반의하며 책장을 펼쳤다. 하지만, “창이 거기서 거기 아니겠어?”라는 나의 기우는 금세 사라졌다. 세계 각국, 각 지역의 다채로운 창! 그 창이 주는 매력과 냄새에 매혹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각 창마다 첨부된 칼라 사진과 그림은 시각적인 자극을 주기에 충분했다.


일본이나 중국, 영국, 미국 같은 친숙한 곳부터 미지의 무언가가 숨쉬고 있을 것 같은 터키와 스리랑카, 인도를 거쳐, 이름도 낯선 슬로베니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까지. 각국의 창을 보며, 실제 그 지역을 방문한 듯한 느낌이다.

 

그뿐인가. 기후와 생활 습관, 삶의 양식에 따라 위치와 모양, 크기를 달리 하는 각양각색의 창들. 그 창을 하나하나 보며, 인간의 삶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창의 숙명을 가늠해 본다. 그리고, 각 창 안 쪽에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을 우리네 이웃들의 모습을 잠잠히 상상해 본다.

 

창은 기후와 풍토, 사회적·종교적 규범, 건물의 용도 등 그 장소가 요구하는 조건에 대해 매우 실천적으로 응답하는 동시에, 그곳에 한데 어울려 있는 다양한 요소의 섭리에 의해 형성된 새로운 세계와 만날 수 있는 상상력을 부여한다. 우리는 그 상상력 안에서 자신의 경계를 초월해 세계와 일체화되는 듯한 시적인 체험을 할 수 있다. (28)

 

이 책이 존재해야 하는 이유가 이와 같지 않을까. 수천 년 발달해 온 인간의 역사와 함께 해온 집, 그중에서도 창을 통해 각 민족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엿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고생했을 일본의 세 교수와 학생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강의실에서만의 교육이 아닌, 직접 그 지역을 밟고 보고 익혀 간 참교육도 부러웠다. 그 교육이 결국 이렇게 아름다운 책으로 피어나지 않았나.

 

창문은 라이프스타일이다. 책 뒷면에 적힌 카피다. ‘삶의 모습과 도시의 문화를 결정짓는 창문의 모든 것이라는 글도 써 있다. 나는 이 책을 통해 창을 보았다. 그리고, 창을 통해 사람을 보았다. 창문 안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는 그 사람들. 그 사람들의 숨결이 아직까지 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