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사랑한 꽃들 - 33편의 한국문학 속 야생화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완서의 대표작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싱아는 무엇일까? 꽃일까? 열매일까? 읽어보진 않았더라도 싱아라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할 때가 있었다. 이혜경의 피아간에는 조팝나무꽃이 활짝 피어난다. 소설과 시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조팝나무. 이름이 예쁜 이 나무는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 또 그 꽃은 어떤 향기가 날까?

한국 소설 속엔 많은 꽃이 등장한다. 단순히 배경을 설명하는 경우도 있으나, 주인공의 마음 상태나 결정적인 사건 전개에서 다양한 꽃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럴 때, 평소에 잘 알고 있는 개나리나 장미 같은 꽃은 쉽게 이해가 되지만, 싱아나 조팝나무, 혹은 원추리가 나타난다면?

 

 

우리가 감동 깊게 읽었던 문학 속의 야생화 이야기가 여기 총천연색으로 펼쳐진다. 바로 김민철 기자의 문학이 사랑한 꽃들. 소설 작품 속 꽃의 상징적 의미를 청춘, 사랑, 추억, 치유, 인생등 다섯 개의 키워드로 나누어 등장하는 야생화가 어떤 맥락으로 쓰였는지 풀어냈다. 또한, 그 야생화가 어떤 꽃인지도 상세하게 담고 있다. 2013년 출간한 문학 속에 핀 꽃들의 후속작으로, 작가의 꽃과 문학에 대한 지속적인 애정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런 야생화를 기본으로,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야생화를 소개해 이 책이 야생화 입문서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했다. 사람들이 이 책에 나오는 꽃들을 시작으로 야생화에 관심을 가져 변산바람꽃, 처녀치마, 털중나리, 금강초롱꽃, 자주쓴풀과 같이 예쁜 우리 꽃의 세계로 입문하면 좋겠다. (8, 머리말에서)

 

많은 사람들이 궁금했던 싱아에 대한 작가의 설명을 들어보자. 싱아는 메밀, 여뀌, 소리쟁이, 수영 등과 함께 마디풀과 식물이란다. , 산기슭에서 흔히 자라고 어린잎과 줄기를 생으로 먹으면 새콤달콤한 맛이 나서 예전에는 시골 아이들이 즐겨 먹었던 풀이라고 소개한다. 작가의 옛 기억 속에 남아있던 싱아가 소설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학이 사랑한 꽃들엔 야생화 설명만 있는 것은 아니다. 소설 33편에 대한 소개가 간략하게나마 들어 있다. 또한, 김연수, 김애란 등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소설가의 작품부터 한국 문학의 중추라 할 수 있는 조정래, 양귀자, 박완서 등의 작품도 소개한다. 이 한 권으로 한국 소설의 흐름도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의 제일 큰 장점은 이것이다. 이미 소설을 읽어봤다면, 작품에 나오는 야생화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이고, 결국 그 작품의 의미가 더욱 다가온다는 것. 설사 읽지 않은 작품이라도, 나중에 한 번 읽어보고 싶다는 단초를 제시하기도 한다.

 

소설이 잘 읽히지 않고, 사람들은 더 이상 시집을 펼쳐보지 않는다. 얕은 처세술과 심리학 분야의 책들이 베스트셀러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문학의 위기라는 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이럴 때, 문학이 사랑한 꽃들의 출간이 반갑다. 약간은 멀게 보이는 문학과 독자와의 거리를 조금이나마 좁혀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