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 - 옛이야기 속 집 떠난 소년들이 말하는 나 자신으로 살기 ㅣ 아우름 3
신동흔 지음 / 샘터사 / 2014년 12월
평점 :
<심청전>, <콩쥐팥쥐>, <백설공주>, <신데렐라>, <장화홍련>... 어렸을 때 한두 번, 아니 수십 번 이상 들어온 이야기다. 시대와 상황은 달라도 약간 겹치는 부분이 있다. 대충의 내용은 이렇다. ‘착한 주인공이 역경을 만나서 고생하다가 자신의 능력과 주위의 도움으로 이겨내고, 결국 행복한 결말을 맞이한다는.
또 한 가지 있다. 대부분 주인공은 자의든, 타의든 집을 떠난다는 사실. 집을 떠난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여기 있다. 제목부터 심상치 않은 『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는 신동흔 교수로 대표적인 이야기꾼이다. 《한겨레 옛이야기》 시리즈를 기획하고 《살아 있는 한국 신화》, 《세계민담전집 1 한국편》, 《삶을 일깨우는 옛이야기의 힘》 등 사라져가는 옛 이야기를 현대의 언어로 풀고 있다. 그가 이번에 초점을 맞춘 것은 이야기 속 집을 떠난 주인공이다. 그는 이렇게 설명한다.
특히 다 큰 어른들이 아닌 ‘아이들’이 길을 많이 떠나지요. 그 아이들은 때로는 아직 철이 들기도 전인 어린아이인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막 철들 무렵의 아이들입니다. 세상과 본격적으로 대면하기 시작할 무렵의 아이들이지요. 그 아이들이 집을 나선다는 건 이제 비로소 자기 삶을 찾아 넓은 세상으로 첫발을 내디딘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30쪽)

설명을 들으니, 그냥 어린이들만 읽는 것으로 치부해 버렸던 ‘동화’가 새롭게 다가왔다. 숲으로 추방당했던 백설공주, 눈먼 아비의 곁을 떠나야 했던 심청, 숲 속 마녀의 과자집에서 죽을 뻔한 헨젤과 그레텔 등 주인공들의 고난이 나름의 의미를 갖고 있었다. 한편, 언뜻 비슷해 보이는 주인공들을 비교하는 부분도 흥미로웠다.
콩쥐나 신데렐라는 장화 홍련과 달리 ‘일을 하는’ 인물이었지요. 콩쥐는 밭에 나가서 일하다가 검은 암소를 만나며, 잔치 자리에 나감으로써 원님을 만납니다. 그렇게 바깥세상과 접속함으로써 빛나는 비약을 이룰 수 있었지요. (67쪽)
이 책의 미덕은 단지 동화 속 주인공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바로 주인공의 삶과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 자신의 삶을 연결시킨다. 한마디로 주인공의 삶이 우리가 따라야 할 표본, 혹은 반면교사가 되는 것이다.
결연히 길을 나서서 고갯마루를 훌쩍 넘어설 때, 그렇게 계속 새 길을 찾아낼 때 마침내 우리 존재는 활짝 빛나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154쪽)
“특별한 목표도 재능도 없는데,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죠?”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바로 이 책이 주는 메시지이다. 신동흔 교수는 많은 동화 속 인물을 통해 이렇게 답한다. “걱정 말고 일단 움직이라.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하라.”
『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는 다음 세대에게 따뜻한 대화를 건네는 ‘아우름’ 세 번째 책이다. 저자는 젊은이에게 책 마지막에 이렇게 묻고 있다.
지금 어디에 있는지가, 또는 어디로 얼마나 멀리 움직이는지가 중요치 않다는 말입니다. 진정으로 움직이고 있는가 하는 게 관건이지요. 어떤가요? 지금 ‘나’는 진정으로 움직여 가고 있나요? (207쪽)
책을 덮기 전,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나는 과연 움직여 가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