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샘터 2015.1
샘터 편집부 엮음 / 샘터사(잡지)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아직 2015년이 어색한 이 때, 한결 산뜻한 표지를 입은 <샘터> 2015년 해오름달(1월)이 독자 곁을 찾아왔다. 표지뿐 아니라, 다채로운 내용의 이야기들로. 손정미 편집장은 “2015년 샘터는 다시 만남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인연을 맺고 정을 나누는 따뜻한 이야기와 그 속의 울림을 찾고자 하기 때문입니다.”(119쪽)라며 독자에게 인사를 건넨다. 새롭게 단장한 샘터는 어떤 모습일까?
먼저, <이색 협동조합> 꼭지가 눈에 띈다. 같은 뜻을 지닌 이들이 함께 모여 세상을 희망차게 변화시켜 나가는 협동조합 사람들을 만나는 코너이다. 이번 호에는 중국동포 자녀들을 사랑으로 품는 ‘지구촌협동조합’의 이야기가 실렸다. 김해성 조합장은 “사회적 약자들이 스스로 연대해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구심점이 협동조합”(18쪽)이라며 협동조합의 의의를 설명한다. 짧은 글이지만, 우리 주위에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곳이 뜬다>도 흥미롭다. 최근 트렌드를 반영하면서 소위 ‘뜨는 공간’으로 주목받는 장소를 찾아가는 코너다. 이번 호에는 잘 안 어울릴 것 같은 서점과 맥주를 결합해 독특한 동네서점으로 각광받는 ‘북바이북’을 찾아갔다. 다른 서점에서 찾아보기 힘든 요소들이 많았다. 빈 책갈피에 추천평을 적는 책꼬리, 요즘 읽는 책의 목록을 적는 독서카드 제도 등이 그것이다. 앞으로 주위의 ‘핫한’ 장소를 매달 발견할 수 있는 기쁨이 생길 것 같다.
이밖에도 <내 몸 사용설명서>, <예술로 다독다독>, <공항 24시>, <대학로 르네상스>, <내가 사랑한 이곳> 등의 알찬 코너가 독자들에게 새로 선보였다.

새로운 꼭지 외에도 샘터의 대표 꼭지라 할 수 있는 <행복일기>, <특집>도 여전히 사람들의 소소한 일상을 전해 주고 있다.
행복을 얻을 자격이 있는 사람이란 외적인 조건보다는 행복을 누릴 수 있는 내적인 능력을 갖춘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닐까. 새해엔 좋은 뉴스를 만나는 요행을 바라기보다는 숨어 있는 행복을 발견할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기를. (73쪽)
시인 나희덕이 <나희덕의 산책>에서 독자들에게 건넨 말이다. 한해를 마무리하며 아쉬움과 희망이 공존하는 이 때, 곱씹어 볼 말이다. 아직 낯선 2015년, <샘터>에 실린 다양한 감동과 소망과 함께 2015년을 향해 뚜벅뚜벅 걸어가 보자. 그리고, 새해엔 곳곳에 숨어 있는 행복을 발견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