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경 - 우리는 통일을 이룬 적이 있었다
손정미 지음 / 샘터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통일을 이룬 적이 있었다

 

약간 도발적인 문장이다. 이 문장을 부제로 한 역사소설 왕경이 독자들을 찾았다. 이 소설은 삼국 중 가장 소국이었던 신라가 어떻게 당시 강국이었던 고구려와 백제를 이기고 통일을 이루어 낼 수 있었는지 당시 상황을 재구성한다.

 

작가의 이력은 특이하다. 작가 손정미는 20년간 일간지 기자로 활동하다 문학 담당 기자 시절, () 박경리 선생으로부터 소설을 써보라는 권유를 받았다. 2012년 소설을 쓰기 위해 기자를 그만두고, 이 소설을 집필하기 시작한 것이다. 작가는 이 소설을 쓰기 위해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를 비롯해 고구려 영토였던 백두산과 중국의 집안 등을 다녀왔다. 이어 소설의 배경인 6~7세기 당나라 수도였던 장안(현재 시안)과 실크로드의 요충지였던 우루무치, 이란까지 직접 답사할 정도로 소설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

 

소설의 제목 왕경은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의 옛말로 소설의 주요 무대를 이룬다. 이 왕경에서 삼국의 젊은이 세 사람이 만난다. 바로 김유, , 진수. 김유는 계림(신라)의 화랑이고, 정은 백제 소녀로 신분을 숨긴 채 왕경의 동시에서 장사를 한다. 진수는 고구려 귀족 출신이었지만 전장에서 포로로 잡히는 바람에 왕경으로 끌려와 김유의 노비가 된 인물이다.

 

이 셋이 보여 주는 사랑과 전쟁, 음모가 왕경과 당 제국의 수도였던 장안에서 펼쳐진다. 특히 생생한 현장 묘사와 주인공의 대화를 통해 바로 옆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관람하는 듯하다. 마치 내가 삼국 시대로 타임머신을 타고 그 당시 사람들과 사건을 관찰하는 느낌마저 든다. 직접 현장을 답사한 작가의 노력 덕분이다.

 

TV 드라마나 영화에서 역사물이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요즘, <왕경>은 우리의 눈을 삼국 시대로 돌이키게 만든다. 중국, 혹은 서양 역사에 익숙한 상황에서 삼국 시대에 우리 조상들이 얼마나 진취적이었고, 도전적이었는지 이 소설을 통해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삼국통일 직전, 이 땅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궁금하다면, 한번 읽어 보라. 생생한 그때의 감동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