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 우리 놀이가 먼 훗날 역사가 된단다 -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 월산 임동권 ㅣ 샘터 솔방울 인물 14
남찬숙 지음, 최지은 그림 / 샘터사 / 2013년 11월
평점 :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 월산 임동권
『오늘 우리 놀이가 먼 훗날 역사가 된단다(남찬숙 글, 최지은 그림 / 샘터)』 읽고
요즘 아이들은 무엇으로 즐거움을 얻을까? 대부분이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즐거워하고, 많은 시간을 보낸다. 예전에는 어땠을까? 그 스마트한 기기들이 아닌 책이었다. 책을 보며 즐거운 한때를 보내며, 상상력을 키우곤 했다.
종류도 다양했다. 동화책부터 자연, 전래동화 등의 다채로운 책들이 아이들을 상상의 나라로 초대했다. 그중, 위인전을 빼놓을 수는 없었다. 이순신을 책을 통해 만나고, 책에서 소개하는 세종대왕, 김구, 황희 등을 만나 보며, ‘나도 저런 사람이 되어야 겠다’는 푸르른 꿈을 꾸어 갔다.
여기, 낯설지만 꼭 알아야 할 사람이 있다. 바로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라 말할 수 있는 월산 임동권 선생. <오늘 우리 놀이가 먼 훗날 역사가 된단다>라는 책은 임동권 선생의 일대기이다. 특히, 동화작가 남찬숙의 쉬운 대화체의 글과 일러스트레이터 최지은의 따뜻한 그림은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들도 쉽게 다가가게 한다.
지금은 ‘민속학’이 낯익고, 많은 대학과 단체에서 연구하고 있다. 그렇지만, 불과 3~40년 전만 해도 민속학이라는 단어조차 없었고, 그것을 연구하는 사람은 거의 전무했다. 그런 민속학을 당당한 학문으로 발전시키고, 우리나라 최초로 대학에 민속학과를 만든 이가 임동권 선생이다.
임동권 선생의 노력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그냥 지방의 한 놀이로만 여겼던 ‘강강술래’와 ‘은산 별신제’, 그리고 ‘강릉 단오제’를 문화재로 지정한 것에도 그의 힘이 컸다. 강강술래와 강릉 단오제는 이후, 유네스코 세계 무형 문화유산으로까지 등재되어 그의 혜안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금 우리가 당연하게 쇠고 있는 ‘구정’, 그 설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게 된 것도 임동권 선생의 땀흘린 노력의 결과였다. 그는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우리 민요들을 찾아서, 그 지방에까지 가서 힘들게 녹음하기도 했다. 그의 노력이 없었다면 아름다운 우리 민요들은 이미 다 사장되어 버렸을 것이다.
노년에 임 선생은 평생 연구해 온 자료들과 책들을 후손들을 위해 기증한다. 우리 민속, 민요에 대한 그의 애정을 짐작할 수 있다. 그의 후배 민속학자들에 대한 당부이다.
서구 사람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자기네 것을 잘 정리했어요. 그러나 우리는 일본이 와서 덮치고, 뒤이어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남겨 두고 기록할 여유도 없이 다 버려졌습니다. 그래서 지속적인 민속학 연구가 필요한 거예요. p.132
우리 전통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는 요즘이다. 우리 것을 지키고 계승시키기 위해 애쓴 임동권 선생 같은 분들의 노력과 애정이 더욱 빛나 보인다.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임동권 선생을 많은 이에게 알리고 있는 이 책이 반갑다. 초등학교 교과서 속의 중요한 민속학의 내용들도 책 중간중간에서 만날 수 있어 좋은 정보가 된다. 그것이 이 책이 주는 또 하나의 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