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샘터 2020.1
샘터 편집부 지음 / 샘터사(잡지) / 2019년 12월
평점 :
품절
며칠이 지나면, 2020년 새해가 밝아온다. 새해를 축하하기 위해 <샘터 1월호>가 찾아왔다. 빨간색 표지의 샘터를 보니, 마치 새해 첫날 일출을 보는 것만 같다. 폐간 위기에 몰렸다가, 기적처럼 다시 시작한 샘터를 반가운 마음에 펼쳐보았다.
뮤지컬 공연기획자 고은령 씨의 따뜻한 이야기가 먼저 눈을 사로잡았다. 그녀는 시청각장애인들을 위해 뮤지컬 공연 기획을 하고 있다. 안정적인 아나운서를 내려놓고, 예술 공연 공부에 매진한 그녀는 현재까지 7편의 창작뮤지컬을 제작해왔다.
“아나운서를 그만두고 사실 많이 불안했거든요. 무작정 공연이 좋을 뿐 어떤 일을 해야 할지 몰랐고 그렇다고 프리랜서로 불러주는 곳도 없었어요. 아무도 저를 찾지 않을 때 유일하게 장애인 분들이 저를 필요로 했던 거예요. 제가 있어야 할 곳은 그들의 옆이라는 생각이 들었죠.” (20쪽)
장애인들이 관람할 수 있는 공연이 국내에 거의 없는 가운데, 그녀의 이런 시도와 노력이 대단하게 느껴진다. 그녀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보이지 않는 장벽을 무너뜨리고 싶다고 고백한다. 그들이 누구보다도 환한 표정으로 뮤지컬을 감상할 수 있기를, 그리고 고은령 씨의 앞으로의 행보에도 박수를 보낸다.

<특집, 10년 후의 내 모습>도 의미깊었다. <그녀와 함께 펴낼 사랑의 시집>, <어머니를 위한 바이올리니스트>, <힐링의 시간을 선물할 그림 카페> 등 7명의 글을 보며 그들이 간직하고 있는 꿈이 멋져보였다. 과연 나는 10년 후엔 어떤 모습을까? 10년 후 내 모습도 그려볼 수 있었다. 그들의 꿈과 나의 꿈을 응원한다.
이외에도 샘터 1월호에는 다양하고 따뜻한 소식이 가득 담겨 있다. <사물에 깃든 이야기>, <지구별 우체통>, <다시 읽는 반세기 샘터> 등... 특히 <다시 읽는 반세기 샘터>는 창간 50주년을 맞아 지난 반세기 동안 샘터 지면을 통해 소개되었던 독자 투고 글을 소개하였다. 이번 호는 1979년 1월에 실렸던 글인데, 그당시의 생활상도 볼 수 있어 정겨웠다. 또한, 샘터 본문의 디자인도 더욱 산뜻하게 바꿔 더 가독성 깊게 읽을 수 있었다.
앞으로도 따뜻한 이웃의 이야기를 많은 사람에게 소개하는 <샘터>가 되었으면 좋겠다. <샘터>와 함께 시작할 2020년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