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드레스
피에르 르메트르 지음, 임호경 옮김 / 다산책방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그 남자의 웨딩드레스

 

※이 책을 읽지 못하신 분들은 '스포'가 될 것이니 읽지않길 권합니다. (이 책을 읽지 않으실 분이라는 상관없겠지요)

 

 건망증이 심한 한 여자의 연쇄살인 이야기일 것이라 짐작했다. 적어도 중반부분까지는. 하지만 이 이야기는 이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매력이 있다. 그리고 짧은 마지막 부분에서 복수가 이어지리라고는 상상도 할 수 없었다. 복수를 당하고 다시 반격하는 그런 이야기는 사실 흔치 않으니 말이다.

 

 이 이야기는 '소피'라는 한 여성을 둘러싼 그 주위를 다룬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소피는 정말 평범한 직장인이지만 주변에서 소리소문없이 그녀의 인생을 바꿔버렸다. 그녀가 변한 것이 아닌 주변의 환경이 달라지는 것인데 어떻게 생각해보면 참 그녀입장에서는 억울하고 어처구니 없는 일이다. 사실 어처구니 없고 말도안되는 일들이 이 사회에서 비일비재가 이루어지긴 하지만 이런식으로 어처구니 없는 일은 흔하지 않을 것이다.

 

 소설 속의 분노의 주범 '프란츠'는 왜 복수의 화살을 '소피'에게 돌렸는가. 이 점이 사실 석연치 않다. 단순히 그녀의 어머니의 주치의였던 '소피' 어머니가 죽어서? 어떤면에서 보면 '소피'는 정말 아무 이유없이 복수를 당했다. '프란츠'의 말도안되는 주관때문에 인생에 치명타를 입은 것이다. 또한 그 복수의 방법은 얼마나 어처구니 없고 잔인한가. 그냥 단순히 보복을 했다면 차라리 나았을 것 같은데 그렇게 질질 끌며 소피의 인생을 망치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그리고 결국엔 또 본인이 어처구니 없는 꾸며진 기록에 어처구니 없이 속고, 어처구니 없이 복수당하다 어처구니없이 엄마와 똑같은 죽음 방식을 택한 것은 어떤 의미란 말인가. 정말 어처구니의 연속이다.

 

 사실 이 책을 읽고 '스토킹'에 대한 생각이 떠올랐는데, 사실 단순한 스토킹이라면 몰래 쫓아다니고..사진찍고 이정도 일 것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이 소설을 통해서..스토커가 얼마나 잔인해질 수 있는지 깨달을 수 있었다. 물론 복수로 인한 스토커라서 그랬던 것이긴 하지만..아무튼 제3자로서 남의 인생에 몰래 가담하는 그런 비열한 짓은 정말 없어져야 하지 않나 싶다. 물론 없어지는게 가능할 것 같지는 않다..이 사회는 어처구니의 연속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