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다른 골목의 추억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막다른 골목의 추억

 

 분위기와 느낌이 비슷한 5편의 단편들로 구성된 소설집 '막다른 골목의 추억'은 뭔가 큰 여운을 남기는 매력을 지니고 있다. 읽고 나서 멍하게 있다가 아쉬움을 삼키는 독자가 많았을 것이라 짐작한다.

 

 '막다른 골목의 추억'은 묘한 매력을 지녔다. 과거의 상처받은 '나'를 치유하는 (나 자신이 직접) 모습이 산뜻하게 그려졌기 때문이랄까. 사실 많은 작품들이 상처받은 인물들을 묘사하기는 하나, 이야기 전개상 남들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작품은 스스로의 고뇌와 생각을 통해서 '스스로' 아픔을 극복하려 한다는 점이 참 좋았다. (물론 부가적으로 남이 도와주는 것도 있기는 하다.)

 

 사실 작가들은 개인의 작품들 하나하나가 전부 소중할 것이다. 그런데 그 중에서 굳이 하나를 콕 집어 좋아한다고 밝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요시모토 바나나의 이런 언급은 이 작품에 그만큼 큰 의미가 내포 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리라.

 

 나는 사실 사랑이야기라고 한다면 호불호가 분명한 성격 때문인지, 항상 강렬한(?)사랑, 혹은 비극적이 사랑을 다룬 작품들을 선호한다. 이리저리 질질 끌거나 애매하게 마무리되는 이야기, 특히나 그런 사랑이야기는 매력이 없다고 느꼈다. 하지만 이 소설집에서 보여주는 이야기들은 하나같이 선선하고, 자극을 뺀 담백한 사랑이야기라 할 수 있겠다.(물론 이 책은 사랑을 주로한 작품은 아니지만..) 정열적인 사랑보다는 남녀 간의 소통을 중시했기 때문에 그만큼 뒤끝 없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실제로 작가는 연애를 참 편하게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물론 이게 아니더라도 작가는 분명 쿨한 여자임에는 틀림없을 것 같다.

 

 마지막 장면이 기억에 남는다. (막다른 골목의 추억) 두 남녀는 전화통화에서도 나오듯, 나중에 시간나면 다시보자는 식의 형식적인 대화를 나누지만 둘의 대화는 이것이 마지막이었을 것이다. 나는 이 장면에서 작가의 배려를 살짝 느낄 수 있었다. 그 배려는 실연의 상처를 치유하는 인물에게 있어서 다른 사람과의 사랑이 아닌, 스스로 고통을 치유하는 '자의식'이었다. 어떠한 시련과 불운이 있더라도 결국 그만큼의 행복 또한 찾아온다는 옮긴이의 말처럼 말이다.

 

 나는 요시모토 바나나를 '바나나'로 묘사하고 싶다. 바나나처럼 심플하고 여운이 남는 작가. 바나나는 언제 먹어도 항상 달다. (시거나 쓰지도 않다! = 심플) 하지만 그 심플 속에 달콤한 여운이 남는다. (그 달콤함은 오래간다)

 그리고! '무덤덤함에서 아쉬움으로 끝나는 독서'. 이것이 요시모토 바나나에 대한 나의 한줄 평이다. 얼핏 보면 혹평이라 할 수 있겠지만, 요시모토 바나나를 잘 아는 독자라면 충분히 그 의미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